•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여항문인 유최진(柳最鎭)과 이기복(李基福)의 ‘신유(神遊)’에 대하여 (A study on the ‘Sinyu (神遊)’ between Ryu Choi-jin (柳最鎭) and Lee Ki-bok (李基福), a Yeohang (閭巷) writer in the 19th centur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2.08
39P 미리보기
19세기 여항문인 유최진(柳最鎭)과 이기복(李基福)의 ‘신유(神遊)’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69호 / 305 ~ 343페이지
    · 저자명 : 박진성

    초록

    이 논문은 19세기 여항문인인 유최진(柳最鎭)과 이기복(李基福)이 서로를 ‘신유(神遊)’라 일컬으며 평생에 걸쳐 남다른 우정을 나눈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에 두 사람이 언급한 신유의 함의는 무엇이며, 그 교유의 실상은 어떠했는지, 그리고 조선 후기 우정론의 전개 및 중인(中人) 계층의 특수성과 관련하여 둘의 교유가 지니는 의미와 가치는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유최진은 강엄(江淹)의 「자서전(自序傳)」을 본받아 본인의 「자서전(自序傳)」을 지었으며, 그 글에서 이기복을 신유라 처음 일컬었다. 그 의미는 정신이나 영혼을 서로 교감하고 깊이 이해하면서 죽어서도 잊을 수 없는 매우 친한 벗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기복은 「신유부(神遊賦)」를 지어 자신과 유최진의 절대 떨어질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신유로 설명하면서 신유의 의미와 효용을 강조함과 동시에 벗에 대한 자신의 진심을 드러냈다.
    유최진과 이기복은 신유의 의미를 실천하듯이, 상대의 문학적 재능과 삶의 지향 등을 누구보다 깊이 헤아려주었다. 그리고 반평생을 함께 한 동반자로서 일상의 희로애락을 공유하였다. 더 나아가 두 사람은 자서전과 자찬묘지, 자만시 등 자신의 죽음을 상정하고 지은 자전적 작품을 서로에게 전하면서 생을 마치는 순간까지 깊은 우정을 나누고자 하였다.
    유최진과 이기복의 신유는 마테오리치(Matteo Ricci)의 『교우론(交友論)』 영향 아래 18세기부터 점차 심화되는 우정 담론의 한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두 사람의 신유는 뛰어난 재능과 실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신분적 제약 탓에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던 중인 계층의 아픔과 자기 위안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d that Ryu Choi-jin (柳最鎭, 1793~1869) and Lee Ki-bok (李基福, 1783~1865 after), the middle-class writers of the 19th century, called each other ‘Sinyu (神遊)’ and shared a special friendship throughout their lives. Therefore, what is the meaning of the ‘Sinyu’ mentioned by the two people, what the actual relationship was, and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friendship the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specificity of the middle class (中人),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two friendship were examined.
    Ryu Choi-jin wrote his autobiography (自序傳) by imitating Jiang Yan (江淹)'s autobiography (自序傳), and Lee Ki-bok was first called Sinyu in the article. It means a very close friend who can't forget even after dying while interacting and deeply understanding the mind or soul. And Lee Ki-bok by wrote an Sinyubu (神遊賦), explained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himself and Ryu Choi-jin with Sinyu, emphasizing the meaning and utility of Sinyu and revealing his true feelings about his friend.
    Ryu Choi-jin and Lee Ki-bok understood the other person's literary talents and values of life more deeply than anyone else, just as they practiced the meaning of Sinyu. And as a lifelong companion, they shared their daily joys and sorrows. Furthermore, the two tried to share a deep friendship until the end of their lives by conveying autobiographical works, such as autobiography, self-written epitaph, and self-elegy poetry to each other.
    Ryu Choi-jin and Lee Ki-bok's Sinyu can give literary historical meaning in that it reflects a trend of friendship discourse that has been intensifying since the 18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Matteo Ricci's De Amicitia (交友論). In addition, the Sinyu of the two is important in that it reflects the pain and self-comfort of the middle class, who were not properly recognized due to their status limitations despite their excellent talent and skil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