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卜·筮와 『易』의 關係에 관한 硏究 - 『周禮』·『書經』·『周易』의 내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the Yeok(易) and Bok-Seo(卜·筮) - through the text in Jurye(周禮), Seogyeong(書經) and Juyeok(周易)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1.03
26P 미리보기
卜·筮와 『易』의 關係에 관한 硏究 - 『周禮』·『書經』·『周易』의 내용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39권 / 1호 / 389 ~ 414페이지
    · 저자명 : 신성수

    초록

    중국 고대 占術文化의 가장 대표적인 것이 卜과 筮라고 할 수 있다. 또한 『周易』은 동양철학의 근원으로서 오랜 역사적 연원을 두고 형성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고대문헌 가운데 『周禮』·『書經』·『周易』을 중심으로 卜·筮와 易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주례』에 의하면, 大卜을 중심으로 한 卜筮制度가 있었는데, 구체적으로 『주역』을 비롯한 三易을 담당하는 자는 簭人이었다. 『서경』에서의 卜筮事例와 「洪範」편을 종합해 보면, 筮와 易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역』 經文과 易傳에 卜·占·筮에 관한 내용이 있지만, 卜에 관한 내용은 중국 고대의 占卜文化를 반영한 것으로 보이며, 『易』으로 판단하는 방법은 卜이 아닌 筮라는 것을 알 수 있다. 『周易』은 筮占을 판단하기 위한 일종의 敎材로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실은 연원적으로나 원리적으로 볼 때, 易이 卜이 아닌 筮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더욱 드러난다.

    영어초록

    The Bok(卜) and Seo(筮) is the most famous of ancient Chinese divination culture. In addition, the Juyeok(周易) as the source of the Eastern philosophy was formed on a long historical origin. The Yeok(易) and Bok-Seo(卜·筮) formed in a nearly contemporary legacy of the ancient spiritual culture.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correlation of the Yeok and Bok-Seo based on the literature of ancient Jurye(周禮), Seogyeong(書經) and Juyeok(周易). According to the Jurye(周禮), there was Bok-Seo(卜·筮) system based on the Daebok(大卜). However, Tri-Yeok(三易), especially including the Juyeok(周易), was responsible for the Seoin(簭人). Therefore, this fact shows that the Seo(筮) and Yeok(易) are closely related. Taken together the Bok-Seo(卜·筮) practices and “Hongbeom(洪範)” the section entitled in Seogyeong(書經), the first, Bok(卜) and Seo(筮) was done strictly separated, the second, Bok(卜) than Seo(筮) was focusing on. And the third, Seo(筮) was closely related to the Juyeok(周易). The contents of the Bok-Seo(卜․筮) and divination(占) are found in text of the Juyeok(周易). Among them, the contents of the Bok(卜) is expressed for information about the reflection of ancient Chinese divination culture. However, as the Seolsi(揲蓍) principle of the concrete method on Seo(筮) are expressed in “Gyesajeon(繫辭傳)”, the way to judge with the Yeok(易) is not the Bok(卜) but the Seo(筮). In conclusion, Juyeok(周易) was arised as a materials to determine the Seo(筮) divination. That is the Tri-Yeok(三易) came to the guidelines for determining the Gwae(卦, Hexagram) through the Seo(筮, 揲蓍), and the Juyeok(周易) is one of the Tri-Yeok(三易). When we examine the principle and origin of the Bok-Seo(卜․筮), these facts shows, the Seo(筮) and Yeok(易) are closely related in terms more evid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