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규수의 『거가잡복고(居家雜服考)』에 나타난 방령심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ngryeongsimui in the Park Gyu-Su's 『Geogajapbokgo(居家雜服考)』)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4.06
26P 미리보기
박규수의 『거가잡복고(居家雜服考)』에 나타난 방령심의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복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복문화 / 27권 / 2호 / 117 ~ 142페이지
    · 저자명 : 이영주

    초록

    본 연구는 박규수(朴珪壽, 1807년∼1877년)의 복식 연구서인 『거가잡복고(居家雜服考)』 제1책 제1권 「외복(外服)」편에 실려 있는 방령심의(方領深衣) 제도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1841년에 간행된 『거가잡복고』는 제2책 3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박규수의 예학(禮學)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기반으로 옛 중국 복식으로의 회복에 초점을 맞춘 복식 개혁론과 실용 · 실학적 복식관이 집약되어 있다. 박규수는 사대부 남성의 예복(禮服)과 평상복으로 도포(道袍)에 흑립(黑笠)이 일반화되어 있던 당시의 시속(時俗)과는 달리 고제(古制)인 심의(深衣)를 평상거복(平常居服)으로 권장하였고, 심의의 실제 제작을 위한 구성 방법을 그림과 함께 설명하였다. 박규수의 방령심의 제도는 선현(先賢)의 의견과 경전(輕典)을 그대로 따르기보다는 고증을 통해 실질적이며 현실적인 복식 개혁안을 적용하였기에 복식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규수의 방령심의 제도에 관한 이론적 연구를 위해 『거가잡복고』「외복」편에 나타난 심의제도를 고찰하였다. ‘부(附) 심의광의(深衣廣義)’에서 심의의 상징성을 살펴보고, 현단복(玄端考)의 중의(中衣)로 착용되는 심의를 실제 제작하기 위해 박규수가 제시한 제도를 상세히 고찰하였다. 둘째, 박규수의 방령심의 실물을 제작하기 위한 원단 손질 방법, 방령 심의 치수 산출과 도식화, 마름질 치수 및 마름질 방법, 그리고 전체적인 바느질 과정을 상세하게 고찰하고 실물을 제작하는 실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심의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 연구가 이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 연구인데 본 연구는 박규수의 방령심의 제도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전통 복식의 고증 및 복원 연구 분야에서 본 연구 결과가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Bangryeongsimui system in Park Gyu-Su's Geogajapbokgo in Book 1, Volume 1 of the Oebok. The Geogajapbokgo, published in 1841, comprises three volumes of the two books. It focuses on restoring old Chinese clothing based on Park Gyu-Su's extensive knowledge of ritual theory and a practical view of the clothes. At that time, noblemen wore Dopo as formal and everyday clothes and wore Gat on their heads. Unlike the customs of the time, Park Gyu-Su proposed Simui as formal attire and daily clothes, a practical and realistic approach. He outlined a method for making Simui and explained it with illustrations. Park's Bangryeongsimui system is significant because it proposed practical and realistic clothing reform plans through historical evidence rather than following the opinions of wise men and the scriptures. The research method employs a twofold approach. First, it analyze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Park Gyu-Su's Bangryeongsimui system as presented in the Geogajapbokgo's Oebok section. It includes examining the symbolism associated with Simui's various elements. The system proposed by Park Kyu-Su was considered in detail to produce the deliberation worn as the Jungui of Hyundan. Second, the study delves into the practical aspects of creating Park Gyu-Su's Bangryeongsimui, including fabric preparation, measurement, patterning, cutting, and sewing processes. This research differentiates itself by combining theoretical analysis with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Park Gyu-Su's Bangryeongsimui, providing valuable insights into traditional clothing restoration. The findings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historical clothing research and traditional clothing resto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복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