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본 행주대첩에 대한 재검토 (Re-study on Haengju Battle Considered through Archaeologic Investigati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1.10
33P 미리보기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본 행주대첩에 대한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79호 / 93 ~ 125페이지
    · 저자명 : 양정석

    초록

    최근 행주산성 주변에 대한 지표조사가 지형의 흐름에 따라 비교적 넓은 지역에서 두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다. 그 과정에서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넓은 범위에서 비교적 많은 수의 유물산포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조사과정에서 확인된 유물들이 고려 말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성과는 행주산성과 그 내부에서 이루어진 시굴 조사에서 확인된 조선시대 유구의 흔적을 넘어서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임진왜란을 전후로 한 시기 행주산성의 주변지역에 일정 수준 이상의 인구밀집도를 가지고 있는 마을이 존재하였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은 큰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즉 행주대첩의 전개과정을 주변 지역과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는 단서가 만들어진 것이다. ‘행주치마’로 대변되는 지역 주민들의 입보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는 행주산성 주변 지역에 상당한 규모의 마을이 존재하였다면 해소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기존 행주대첩에 대한 인식의 전제조건은 행주산성 내부의 좁은 공간 문제였다. 행주산성의 공간 문제는 관군의 주도하에 전투가 이루어졌을 것이라는 수준에 머무르게 하였던 것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신라에 의해 조영된 토성의 범위만으로 행주대첩의 범위를 한정지었던 것에 기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런데 당시 승군이 전투에 임하였던 자성을 토성 밖에서 찾을 수 있다면 대첩과 관련되는 지역은 이보다 훨씬 넓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화살 등 보급품을 실고 온 조선군의 선박이 정박할 수 있었던 행주나루가 행주대첩의 공간이 연결될 수 있다면 이는 넓은 범위에서 이루어지던 당시의 전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이들 새롭게 조사된 유물산포지는 앞으로 행주대첩과 관련된 유구가 확인될 가능성과 함께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는 비록 적은 수의 병사로 하루 만에 끝난 전투이지만 목책 등으로 전투에 대비하였던 흔적이 아직 확인되지 않은 행주산성에 대해 주변지역으로 범위를 넓혀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한 이유인 것이다.

    영어초록

    Recently land faces on the skirts of Haeengju Mountain Castle were investigated two times at wide areas comparatively, according to the stream of the shapes. Through the investigation, many places were found, the laces on which relics were scattered, and they were wider than known till now. Most relics identified through the investigation were those of late Goryeo and Chosun. The outcomes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unciform implement traces of Chosun identified through digging investigations inside Haengju Mountain Castle. The investigations, significant results, clarified that villages with population density higher than a level might be in existence on the skirts of Haengju Mountain Castle before and after Imj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at is, the investigations found a clue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Haengju Battle, relating with the skirts. It is because the negative view on regional inhabitants's participation in the battle, expecially 'Haengjuchima (skirt)', may be solved, if there were large scale villages on the skirts of Haengju Mountain Castle.
    Another existing premise on Haengju Battle is related with narrow space inside Haengju Mountain Castle. Possibly, the discussion on the space leads to no more guess than government troops would command the battle. It is because in the past the range of Haengju Battle were known to be the soil castle built by Silla, too. But, if a trace that monk troops participated in the battle is found outside of the soil castle, the region related with the battle gets wider than it.
    In the end, if Hangju Ferry where Chosun troops could anchor, loading supplies such as arrows, is related with Haengju Battle space, it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ing that battle made a progress in wide spaces.
    As mentioned above, the re-invested places, on which relics were scattered, have to be considered together with the possibility of finding unciform implement related with Haengju Battle in the future. Though the battle with a few soldiers' participation ended in a day, the trace is not identified, the trace that soldiers prepared for the battle by establishing wooden barricades. So,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aengju Mountain Castle by widening the area to the outski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