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젠더적 시각에서 본 산속(産俗)과 산모(産母) (Childbirth customs and Mother from the Gender Perspectiv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3.04
24P 미리보기
젠더적 시각에서 본 산속(産俗)과 산모(産母)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77호 / 435 ~ 458페이지
    · 저자명 : 염희재

    초록

    본 연구는 산속(産俗)에 대한 젠더적 접근을 통해 출산의 당사자였던 산모에 초점을 맞추어 임신부터 출산 후까지의 산속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지조사를 통해 전국적으로 수집된 사례를 바탕으로 기자와 임신, 출산공간으로서의 산실(産室)과 산신(産神) 그리고 산후의례로 나누어 각 단계에 내포된 여성의 주체적 행위 및 여성성을 살펴보고, 산속에 대한 젠더적 접근의 연구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자 행위와 산모에게 주어진 금기를 따르는 것은 건강한 아이를 임신하고 출산하기 위한 산모의 주체적인 노력이었다. 기자 행위는 새로운 생명이 남녀의 성적결합이 아닌 초자연적 존재에게서 온다는 산모의 믿음에서 비롯된 신앙 행위였다. 산모가 본인에게 주어졌던 금기를 따르고자 한 것은 공동체 내에 전해 내려오는 규칙을 수용하고 새 가족의 구성원으로 거듭나기 위함이었다.
    분만이 이루어졌던 산실은 여성성이 극대화된 공간이었다. 산실은 삶과 죽음의 경계공간이었으며 이 공간에서 산신 및 다른 산파의 도움을 받아 분만의 고통과 불안을 감내했다. 산파가 주로 여성이었던 것은 여성이 지닌 정화능력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이 경계영역에서 출산해낸 여성은 쾌감을 느끼며 스스로 여성성을 확인하였다. 산실에서 극대화되는 이러한 여성의 생명력은 곧 여성의 영력으로 이어졌다.
    출산 후에 금줄을 치는 것은 산모가 여성 혹은 주부로 돌아가기 위한 회복의 시간을 보내게 하는 것이었다. 금줄을 통해 성역화된 산실에서 산후조리를 하는 여성은 신체를 완전히 회복할 수 있게 다양한 금기를 준수하였다. 산모에게는 산후조리를 통해 건강한 몸을 회복하여 가정 혹은 공동체로 복귀하는 것이 여성으로서의 본분을 다하는 일이었다.
    임신과 출산은 여성의 고유한 영역이었으며 좁게는 가족, 넓게는 사회의 존속을 위한 행위였다는 점에서 여성의 공동체 내 지위와도 연결되는 부분이었다. 이 과정에서 동반되는 수많은 금기 및 신앙적 행위들은 결국 건강한 아이를 출산하고 공동체로 복귀하기 위한 여성의 주체적 행위이자 여성이 본인의 여성성을 확인하는 일이었다. 결국, 임신과 출산을 오로지 여성만이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성의 영력이 인정되며 이는 곧 주부권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tried to shed new light on childbirth custom from childbearing to post-partum, focusing on mother who was involved in childbirth through a gendered approach. To this end, based on cases collected nationwide through field research, this study focuses on women’s independent behavior and femininity included in each stage dividing into prayer rite for having a baby and pregnancy, the birth room as a space for childbirth, the god of childbirth, and prenatal ca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research significance of the gendered approach to childbirth custom.
    Observing taboos given to mother was her independent effort to conceive and give birth to a healthy child. The prayer rite for having a baby was an act of faith derived from the mother’s belief that new life comes from a supernatural being, not from a sexual union between a man and a woman. In addition, the mother’s attempt to follow the taboo given to her was an act to accept the rules handed down within the community and be accepted as a member of a new family.
    The birth room where delivering takes place was a space where femininity was maximized. The birth room was a boundary space between life and death, and in this space, with the help of the birth god and other midwives, mother endured pain and anxiety of childbirth. The fact that midwives were predominantly female stemmed from women’s ability to purify. In addition, women who gave birth in this boundary area felt pleasure and confirmed their femininity themselves. This vitality of women maximized in the birth room led to women’s spiritual power.
    Hanging up the straw rope after childbirth was to give the mother a period of recovery to return to a housewife. A woman who was in postpartum care in a sanctuary space through hanging the straw rope complied with various taboos so that her body could be completely restored. It was her duty as a woman to restore a healthy body through postpartum care and return to the family and community.
    Pregnancy and childbirth were women’s unique domain, and in that they were acts for the continuance of society, it was also a part connected to the status of women in the community. Numerous taboos and religious acts accompanying this process were, in the end, women’s independent acts to deliver healthy babies and return to the community, as well as to confirm their femininity. In the end, women’s spiritual power was recognized in that only women could have and deliver babies, which led to the right of housew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