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럽중심주의 담론을 통해 본 역사교육의 과제 (The Challenge of Postmodernist and Postcolonialist Discourses of Eurocentrism in History Educatio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4.09
27P 미리보기
유럽중심주의 담론을 통해 본 역사교육의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역사교육 / 131호 / 167 ~ 193페이지
    · 저자명 : 강선주

    초록

    2000년대 이후 역사교육계는 새로운 세계사/지구사 논의의 시작과 함께 유럽중심주의를 본격적으로 검토하기 시작하였다. 이 때 소개된 유럽중심주의 비판 담론 뒤에는 포스트모던 역사인식과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이 토대가 되고 있다. 포스트모던적 역사 인식론은 담론으로서 역사의 성격을 부각시키면서 근대 유럽중심적 역사관이 생산되고 유포된 정치적 맥락을 분석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을 제공하였다.
    포스트콜로니얼리즘 연구자들은 유럽중심 역사관이 진화를 거듭하면서 19세기 제국주의적 세계관을 ‘세련된’ 문명사관으로 포장하여 식민주의를 은연중에 관철시키고 있다는 점을 설득력있게 분석하였다. 억압과 착취를 낳은 지배 이데올로기의 해체를 추구하면서 역사학에서 식민주의 유산을 영속화시키고 있는 유럽중심주의의 가면을 벗긴 것이다. 과장된 유럽의 성과에 날카롭게 의문을 제기하면서 근대의 계보에 대해 성찰하고 다시 써야한다고 요구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의 연구방법과 문제의식에 기초한 유럽중심주의의 해체와 새로운 세계사/지구사의 추구는 2000년대 초에는 주로 세계사 교육에서 역사관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역사 연구와 교육에 관철되고 있던, 우리가 정전으로 신뢰했던 것을 문제화하면서 망각하고 있던 기억들을 되살리는 작업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 유럽중심주의 비판 담론은 역사관을 넘어 ‘역사학’이라는 지식 구조 자체의 폭압성과 이데올로기성까지 부각시키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의 도전은 학교 역사는 학생들에게 무엇을 제공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다시 할 것을 요구한다. 본고에서는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포스트모던·포스트콜로니얼 관점의 ‘유럽중심주의’ 비판 담론을 중심으로 역사교육계가 직면하고 있는 과제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From the beginning of teaching world history with the first national curriculum(1954), history educators have criticized Eurocentrism of school world history. For several decades, they have sought ways to transcend Eurocentrims.
    In the 2000s, history educators adopting the postmodernist method of discourse analysis and pursuing postcolonialist agenda to transcend colonialism, they highlighted that the role of western Europe was exaggerated in narrating modern transformation and demanded that the genealogy of modernity be re-introspected and rewritten.
    Taking a step further than criticizing Eurocentric theory of European creation of modernity, currently, scholars in postmodern and postcolonial critical theories problematize thinking structures and analytic categories produced in modern, capitalist, industrial and imperialist Europe. They assert that modern discipline of ‘history’ itself is a representation of structural Eurocentrism and without demolishing history and modernity.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llenge of postmodernist and postcolonialist discourses of Eurocentrism in history education and suggests that reflecting the changed world, educators address the problem and indadequacy of old cann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