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독교 신앙과 실정법에서 본 낙태와 안락사 (Abortion and Euthanasia from the Perspectives of Christianity and Positive Law)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3.02
53P 미리보기
기독교 신앙과 실정법에서 본 낙태와 안락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교회와 법 / 9권 / 2호 / 10 ~ 62페이지
    · 저자명 : 송삼용

    초록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에서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22년 1월부터 8월까지 8,426명이 자살했다. 지난 2021년 한 해 동안 13,352명이 목숨을 끊었다. 통계청은 2021년 한국의 자살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며, 30대까지의 사망 원인 1위가 자살이라고 발표했다. 이미 알려진 사실이지만 막상 통계를 접하고 보니 충격적이다. 지난 해 8월에 1046명이 스스로 생명을 끊었다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생명경시 풍조를 보여주는 단면이다.
    인간의 생명이 그렇게 자살로 마감해야 할만큼 가볍고 하찮은 존재일까? 그렇다면 우리 사회가 OECD국가 중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스러운 통계를 줄여 보려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할 수 없을까? 인간 생명의 가치를 가장 소중히 여기고 있는 기독교라도 우리 사회에 그처럼 만연된 생명경시 풍조에 역류·역행하는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대안을 내놓을 수 없을까? 이같은 물음에 대해 기독교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은 바된 인간의 존엄성과 고귀한 생명의 가치를 제대로 가르쳐야 할 의무를 다하지 못하고, 사회 전반에 확산시켜야 할 책임을 감당하지 못한데 대한 반성적 성찰이 절실해 진다.
    우리 사회가 직면한 생명과 관련한 문제는 자살에 대한 절망적인 통계만이 아니다. 생명윤리의 쟁점인 낙태와 안락사 역시 천하보다 귀한 인간 생명의 존엄성과 가치를 치명적으로 해(害)하는 주제들이다. 과학 기술의 진보는 스스로 자제력을 통제하는 자율성을 잃은 채 무제한적으로 연구 분야 및 그 범위를 확산해 가고 있다. 현대 생명과학의 주제들이 그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예컨대, 배아 복제, 유전자 조작 및 치료, 연명 치료, 인간대상 및 인체 유래물 연구, 장기이식 뇌사 등이 그 사례들이다.
    이 같은 생명 윤리의 쟁점들 중 낙태의 경우 헌법재판소가 ‘형법 제269조 제1항 등 위헌소원’에서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림으로써 낙태죄가 폐지되어 2020년 한 해 동안 인공임신중절 건수가 32,063건으로 집계되었다. 이 같은 공식 통계 외에도 우리 사회에서 광범위하고도 은밀하게 시행된 암수 범죄까지 포함하면 낙태로 인한 태아의 살해는 그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안락사의 경우도 「연명의료결정법」에 근거하여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제도를 시행하고 있어 사회적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처럼 낙태와 안락사의 문제는 현대 사회에서 더 이상 피해갈 수 없는 주요 이슈 중의 하나다. 이 두 쟁점은 삶의 죽음의 문제로써 모든 사람들에게 필연적인 과제이며, 동시에 인간 생명의 존엄성과 가치에 관련된 주제들이다. 특히 두 쟁점들은 윤리적인 측면이나 종교적인면, 더 나아가 사회적인 합의를 도출해야 할 과제도 안고 있다.
    위와 같은 사회 현실을 고려하면서 본고는 기독교 신앙과 실정법의 차원에서 낙태와 안락사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신앙적·실정법적 관점에서 볼 때 낙태는 범죄의 구성 요소를 지닌 죄라는 점, 태아는 수정되는 순간 생명임으로 산모의 생명처럼 보호받아야 한다는 점, 생명윤리의 차원에서 낙태로 인한 폐해를 줄이는 대책이 시급하다는 점, 신앙적·실정법적 관점을 근거로 인간생명의 존엄성과 가치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환자의 가족들의 형편을 충분히 고려한 구체적인 대책과 대안이 절실하다는 점 등의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statistics released by Korea Foundation for Suicide Prevention, 8,426 people committed suicide from January to August 2022. In 2021, 13,352 people ended their lives.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in Korea announced that in 2021 South Korea had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member countries of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nd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for people below age 30 was suicide. While this is a well-known fact, the actual statistics are distressing. The fact that 1,046 people took their own lives in August of last year demonstrates the trend toward disregarding life.
    Is human life so insignificant and trivial that it is so easy to end it by suicide? Then would it not be possible to prepare special measures to displace Korea from its depressing rank as the country with the highest number of suicides in the OECD? Would not Christianity, which values human life above all else, be able to offer concrete measures based on a paradigm that counters and reverses the widespread trend of disregarding life prevalent in Korean society? Regarding this question, it could be argued that Christianity has not been able to fulfill its duty of properly teaching about the dignity of human beings who we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nd the value of a noble life, and has not managed to fulfill its responsibility of spreading its message to society as a whole, and therefore reflective contemplation is necessary.
    The life-related issues that Korean society is facing are not limited to suicide. Abortion and euthanasia, which are bioethical disputes, are also topics that critically damage both the value and dignity of human life that is more valuable than anything.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relentless, as the autonomy that regulated self-control has been lost. The topics of the modern life sciences reveal this dimension. For instance, these include cases such as embryonic cloning, genetic manipulation and gene therapy, life-prolonging treatment, and research on human subjects and human-derived materials, as well as organ transplantation and brain death.
    Among such bioethics issues, in “Article 269, Paragraph 1 of the Criminal Act” concerning abor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on the issue of constitutional nonconformity, and following decriminalization, cases of induced abortion reached 32,063 in 2020. If we include the hidden crimes that are widespread in Korean society,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number of fetal deaths due to abortion is much higher.
    Regarding euthanasia, a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is implemented based on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Act, and this has faced criticism. The problems of abortion and euthanasia are unavoidable issues of modern society. As matters of life and death, these two issues represent an obligation for everyone and are subjects related to both the value and dignity of human life. In particular, the two issues have ethical or religious aspects, and also involve the task of reaching a social consensus.
    By considering such social realities,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issues of abortion and euthanasia from the perspectives of Christianity and positive law. As a result, abortion can be considered as a component of crime from a spirituality and positive law point of view, and an embryo can be regarded as a living being from the moment conception occurs, and should be protected as a living human being. In addition, from a bioethical point of view, measures to reduce the harmful effects of abortion should be taken promptly. From the perspectives of spirituality and positive law, measures and solutions that consider the circumstances of patients’ families without damaging the dignity and value of human life are urgently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회와 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