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비투스(Habitus) 관점으로 본 치매 마을의 공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Dementia Village from the Habitus Point of View)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1.04
12P 미리보기
아비투스(Habitus) 관점으로 본 치매 마을의 공간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3호 / 131 ~ 142페이지
    · 저자명 : 이현정, 윤재은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인구의 고령화는 여러 가지 사회 문제와 더불어 치매 유병률의 폭발적인 증가를 가져왔다. 급격하게 증가한 대다수의 치매 환자들은 기존의 거주공간에서 치매 시설로 입주한다. 갑작스러운 환경의 변화로 환자들은 사회적 고립과 관계 단절로 인한 일상의 파괴를 경험하게 된다. 이로 인해 무력감, 우울증, 무반응, 기피증, 난폭한 행동, 치료 거부, 삶에 대한 의욕 상실 등의 증세로 나타나고 있다. 치매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사회 관계·인간 행위· 공간 속의 아비투스 형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치매마을의 치매 친화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아비투스적 공간 특성과 세부 요소들을 기준으로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치매 시설 중 해외에 조성되어있는 치매 마을 4개소를 선정한다. 선행 연구와 문헌을 기초로 아비투스와 치매 마을의 개념을 고찰한다. 치매 마을의 전략적 요소를 추출하고 아비투스 개념의 심리적 공간 요소와의 관계성을 통해서 치매 마을의 공간 특성과 세부 요소들을 도출한다. 도출된 요소들을 바탕으로 치매 마을을 분석한다. (결과) 치매 마을에 나타나는 아비투스의 공간 특성으로 ‘장소성’, ‘사회성’, ‘문화성’ 3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장소성의 세부 요소로는 애착 환경성, 일상성, 상징성이다. 치매 마을 4개소에서 높은 강도로 균일하게 나타나는 특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성의 세부 요소는 상호작용성, 커뮤니티성, 지역 상생성이다. 셋째, 문화성의 세부 요소는 체험성, 개방성, 접근성이다. 문화성은 3가지 특성 중에서는 가장 낮은 빈도수를 보인다. 치매 마을 4개소에서 나타나는 세부 요소 중 애착 환경성, 일상성, 상호작용성, 커뮤니티성은 동일한 강도로 모두 높게 나타난다. 세부 요소 중에서 접근성은 매우 미비하게 나타나며 지역 상생성과 체험성 또한 낮은 빈도로 나타난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아비투스의 공간 특성은 치매 마을의 중요한 핵심 개념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간에게 있어 주거공간은 단순한 장소의 개념이 아니라 무의식 속에서 체화된 의사결정의 방식이자 상호작용에 기반한 구조화된 사회관계이다. 주거 이동으로 관계 단절을 느끼는 치매 환자들에게 아비투스의 특성을 통해서 사회적 고립감을 막고 심리적 치유환경을 조성하는 치매 마을을 만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 aging population, along with various social problems, has led to an explosive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dementia. The vast majority of dementia patients who have increased rapidly move into dementia facilities in their existing living spaces. The sudden change in the environment causes patients to experience daily destruction caused by social isolation and disconnection of relationships. This has resulted in feelings of helplessness, depression, inaction, avoidance, violent behavior, rejection of treatment, and loss of motivation for life. As a solut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at appear in dementia patient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ocial relations, human activities, and the formation of Habitus in space. This study aims to produce analysis results based on Habitus spatial characteristics and detailed factors to build a dementia-friendly environment in dementia villages. (Method) Four dementia villages established overseas shall be selected from among dementia facilities. Based on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the concept of Habitus and dementia villages is considered. It extracts the strategic elements of the dementia village and deriv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detailed elements of the dementia village through its relationship with the psychological spatial elements of the concept of Habitus. Analyze dementia villages based on derived factors. (Results) The three spatial characteristics of Habitus in the village of dementia are derived: 'placeability', 'sociality' and 'culturality'. First, the detailed elements of placeability are attachment environment, daily life, and symbolism. It was shown that four dementia villages were uniformly characterized by high intensity. Second, the detailed elements of sociality are interaction, community, and regional co-prosperity. Third, the detailed elements of culturality are experience, openness, and accessibility. Culturality has the lowest frequency among the three characteristics. Among the detailed elements of the four dementia villages, attachment environment, daily life, interaction,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are all high at the same intensity. Among the detailed elements, accessibility is very poor, and local co-prosperity and experience are also low frequencies.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Habitus are an important core concept of dementia villages. For humans, residential space is not just a concept of a place, but a structured social relationship based on interaction and a method of decision-making embodied in unconsciousness.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to create a dementia village that prevents social isolation and creates a psychological healing environmen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Habitus for dementia patients who feel disconnected due to residential mov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