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층위와 유적으로 본 흑요석제 석기의 공간성 (Spatiality of Obsidian Stone tools Viewed by stratigraphy and sit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9.12
27P 미리보기
층위와 유적으로 본 흑요석제 석기의 공간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석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구석기학보 / 1권 / 40호 / 67 ~ 93페이지
    · 저자명 : 박경남

    초록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흑요석 연구를 통해 흑요석은 주로 좀돌날 제작을 위해 효율적으로 이용되었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흑요석제 석기의 시⋅공간적 변화상을 규명하는 데 미흡하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층위를 기준으로 한 시간적 차원에서 흑요석 원석의 획득에서부터 석기 제작과 폐기에 이르는 과정의 공간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석기군 구성의 차이는 층위라는 시간적 요소에 따른 제작 기술적 발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흑요석은 최소한 남한 지역 내에서는 충분히 공급될 수 없는 돌감이었으므로 유적으로 반입된 흑요석의 양, 석기 형식, 제작 유무 등이 각 유적의 흑요석제 석기군을 상이하게 만드는 또다른 요소로 작용하였다. 유적별 석기 수량과 총 무게를 기준으로 공간적 차원을 이해하였을 때, 각 유적의 흑요석은 단발적으로 이용되었다는 공통점이 확인된다. 원석이 반입된 유적을 중심으로 다양한 석기군 유형이 혼재되어 있다. 그러나 늦은시기로 갈수록 더욱 넓은 범위에서 흑요석제 석기가 확인된다.
    결국 단발적으로 이용된 흑요석을 토대로 구성된 석기군은 각 유적으로 반입된 돌감의 양에 영향을 받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희소한 돌감인 만큼 시간이 지나며 점차 제작 기술의 진전과 공간적 이용 범위의 확장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A series of researches on obsidian which began in the late 1980s have spread the knowledge that obsidian was efficiently used mainly for the production of microblade. But, previous researches were insufficient to clarify the spatio-temporal changing aspects of stone tool. Therefore, this study on the basis of stratigraphy intends to reveal the spatiality over time in Chaîne opératoire ranging from the acquisition of raw obsidian to the fabrication and disposal of stone tool.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stone tools are thought to have been influenced to some extent by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the production according to the temporal element of the stratigraphy. But, since obsidian was a raw material that could not be supplied enough in the South Korea at least, the amount of it brought to each site, the type of stone tools and whether or not they were manufactured were other factors that made the obsidian’s lithic assemblages of each site different.
    In terms of spatiality, there is a common fact that all kinds of obsidian were used momentarily, given the quantity and total weight of stone tools by sites compared to the period of use. Various lithic assemblage types are mixed around the sites where the raw stones were brought. But, the patterns of obsidian’s in-and-outcoming were diversified and scope of its use was expanded as moving on to the secondary obsidian layer.
    In conclusion, lithic assemblage made on the basis of one-time obsidian can be judged to be affected by the amount and type of the stone tools introduced into each site. However, as time has passed, the progress of debitage strategy and the expansion of the range of spatial use were made since obsidian was a rare mater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