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發掘調査 成果를 통해 본 益山의 百濟 寺刹 (The Temples of the Baekje Kingdom in Iksan in View of the Outcomes of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0.08
35P 미리보기
發掘調査 成果를 통해 본 益山의 百濟 寺刹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2권 / 43호 / 159 ~ 193페이지
    · 저자명 : 김선기

    초록

    익산에 있는 백제유적과 관련하여 別都說, 遷都說, 經營說, 離宮說, 別府說, 神都說 등 많은 이설이 있다. 지금까지 발굴조사 된 王宮里遺蹟이나 陵墓遺蹟・關防遺蹟 및 왕실조영의 3대사찰(大官寺・帝釋寺・彌勒寺) 등의 유적을 통해서 보면 익산이 어떠한 형태로든 王都였음은 부정될 수 없다.
    3대사찰의 창건기획은 부여식 연화문수막새의 출토양상을 통해 볼 때 600년경이면 이미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大官寺址는 왕궁리유적의 중심부에 拜禮空間을 둔 권위적 상징체계의 독특한 가람배치로 宮墻과 더불어 만들어졌다. 여기에서 사용된 창건기와는 부여식 연화문수막새로 610년 경에는 완성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帝釋寺址 창건가람은 1탑1금당의 배치라는 전통적인 가람구조로 추정되며, 중건가람도 그 전통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석사지 창건가람은 부여식 연화문수막새의 전통이 남아 있는 620년경에 완성된 것으로, 중건가람은 미륵사지와 더불어 650년경에는 완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彌勒寺址는 혁신적인 삼원병치의 가람구조로 확인되어 3대사지에서는 각각 독특하면서 전혀 다른 형태의 가람배치가 확인되었다.
    가람배치의 차이는 사찰 조영목적의 차이에서 기인된다고 생각되는데 제석사지는 과거 國祖의 信仰儀禮의 기능으로, 대관사지는 현실 불교계를 통괄하면서 현재 왕실의 발전을, 미륵사지는 미래 국가와 왕실의 번영과 발전을 기원하는 三世祈願寺刹의 성격을 갖는다고 생각한다. 삼세기원사찰의 모티브는 久遠한 여래의 永遠性을 상징하는 三世三佛信仰에서 찾을 수 있고, 이는 국가와 왕실의 영속을 기원하는 護國佛敎의 신앙구조로 생각된다. 그리고 그 이면에는 백제왕권의 정통성을 보여주고 국가와 왕실의 번영과 발전의 영속을 기원하고자 하는 의중에서 대관사를 중심으로 전통국가의 宗廟와 社稷的인 기능을 익산의 3대사찰들이 담당하였던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Lots of conflicting theories have been offered to identify Iksan as either the place for a separate capital, or completely transferred capital, or separate palace, or extended administrative district, or divine capital, etc. of the Baekje Kingdom. The fact that Iksan was at any rate a royal capital of the Baekje Kingdom is endorsed, it is believed, not only by the hitherto excavated and investigated relics in Wanggung-ri but also by the remains in Iksan of the tombs for royal families as well as for common people, castles and the three major temples (Daegwan Temple, Jeseok Temple, Mireuk Temple) built by the kingdom country.
    Judging from the patterns of unearthed Buyeo-typ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plans for building the three major temples are presumed to have been already set up at around A.D. 600. The site of Daegwan Temple in Wanggung-ri shows that the temple was built together with the palatial walls in a unique layout for authoritative demonstration of the symbolic system created by the space for worship in its center. The tiles used in the initial building of the temple are thought to b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which had been completed presumably by around A.D. 610. It is also estimated that the initial stage of Jeseok Temple site had a traditional layout of a temple with one pagoda and one main building. This is confirmed by the relics of the renovated temple. It is further supposed that the initial building of Jeseok Temple was finished at around A.D. 620 when there still remained the tradition of Buyeo-typ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and that the renovated temple building was completed at around A.D. 650 together with Mireuk Temple. The Mireuk Temple site turned out to have had a innovative layout of three halls aligned in juxtaposition, resulting in unique and different style of layouts in each of three major temples.
    Such difference in layout of the temples is believed to come from the difference in the purpose of temple construction, since Jeseok Temple, for example, was said to be aimed at serving as a place of ritual for the past-generation national ancestors, while Daegwan Temple aimed to become the temple reigning the present world of Buddhism and praying for progress of the present royal families, and Mireuk Temple purported to offer up the petition for growth and prosperity of futuregeneration royal families and the nation, that is, the temples all were oriented toward wishing for well-being of the three generations of the country. Since the original motive of the temples wishing for well-being of the three generations may be traced up to the three-generation and three-Buddha belief that symbolizes immortality of the everlasting Buddha, the temples wishing for well-being of the three generations are believed to have the belief system of petitioning everlasting nation and royal families. In this context, the three major temples in Iksan including Daegwan Temple seem to have played a key role in functioning as shrines as well as royal courts of the traditional country with a view to pray for everlasting prosperity and sustenance of the royal authority and legitimacy of the Baekje royal famil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