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적 변천과정에서 본 영국 의료문화의 변화 (Changes of the UK's Medical Culture by Historical Perspective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0.06
32P 미리보기
역사적 변천과정에서 본 영국 의료문화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36호 / 293 ~ 324페이지
    · 저자명 : 최찬호

    초록

    본고는 역사적 변화와 함께 진화되어온 영국 의료문화의 형성과정과 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의료국유화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작성되었다. 처음 영국의 보건의료는 개인주의 영향을 받아 사적지배 유형으로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1·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국민의 정부에 대한 의존문화가 새로이 형성되면서 베버리지(Beverage)보고서가 작성되었다. 이를 계기로 과거와는 다른 변혁된 의료문화가 점진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급기야 국가보건서비스(National Health Service, NHS)의 제정을 통해 의료국유화가 이루어졌다. NHS가 제정된 이후, 약 40 여 년 동안, 신뢰를 받던 NHS는 그 단점이 노출되었고, 급기야 1980년대의 대처(Margaret Thatcher)내각은 기존의 보건의료체계 내에 내부시장(Internal Market)기능의 적용을 통해 공급자간의 자율과 경쟁을 통한 개혁을 단행했으나, 의료비용의 절감만을 강조함으로써 근본적인 보건의료구조의 변화를 가져오진 못했다. 하지만 그녀의 개혁은 영국이 미래를 향해 제시하고 있는 ‘신 의료문화’ 창조를 위한 원동력이 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다.
    이어 집권한 블레어(Anthony Blair)의 노동당은 중도 정치노선인 ‘제3의 길(The 3rd Way)’을 주창하면서 일반의(General Practitioner, GP)의 개인의 책임에 의한 일차보건의료사업의 활성화를 강조하였다. 그의 내각은 의료체계의 점진적인 변화를 통해 지역주민의 욕구가 반영된 참여식 의료사업의 활성화를 이루기 위한 ‘신 의료문화’ 창조에 노력을 기울였으나, 대체로 의료비의 증가와 함께 의료질의 하락을 초래했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보건의료의 탈 관료화를 가져왔고, 소비자 중심의 의료체계를 강조함으로써 ‘신 의료문화’의 창조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다. 영국의 보건의료는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조합 속에서 지속적인 개혁을 통해 새로운 형태로 거듭나고 있음을 본고에서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changes of the UK's public health and medicine. Health care in England can only be understood as a product of evolution, its roots reaching back into history. Though generally perceived as the outcome of Beverige's Report, the UK's NHS is really the result of an evolutionary-like process originating in the 16th century Elizabeth Poor Laws. By the nineteenth century hospital treatment was mainly provided by voluntary or private supported, but World War II had a significant impact on health care based on the individual culture as a whole. War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which coordinated health care across the country, both providing a better service and further legitimating the role of central government in health care provision. The NHS was finally enacted as a result of a 1944 White Paper and the The National Health Service Act in 1946. Though the NHS was welcomed over the first 40years of the NHS there was a significant problem which would plague its development in subsequent years. In the UK, 1979 was a time of significant change. Though Thatcher did not privatise the NHS, she introduced the concept of the ‘internal market’ to achieve a desire to see the NHS become ‘business-like’ Though this dramatic change was to engender competition and thus increase cost-effectiveness, there is no proof that the curve in costs was achieved, and the internet market was unpopular with the population in general. In 1997, New Labour to pledge the ‘3rd way’ set out to a strategy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population. This strategy was expected to achieve by requiring the NHS to form the delivery of care based on GP's responsibility. New Labour proposed that, in order to this,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reduction in bureaucracy and an increase in efficiency. Under New Labour there continues to be new reforms to achieve the form of ‘New Medical Culture’ including changing values and ideolog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