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峯集」의 전거를 통해본 신유학 수용 (Koreans' embracement of Neo-Confucianism, examined through 「Sambong-jib/三峯集」)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09.03
35P 미리보기
「三峯集」의 전거를 통해본 신유학 수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45호 / 1 ~ 35페이지
    · 저자명 : 도현철

    초록

    이 글은 「삼봉집」의 典據를 통해서 외래사상의 수용 양상을 파악하고 정도전 사상의 특징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삼봉집」은 정도전의 저술을 모아 일시에 간행한 것이 아니라, 개별 저술을 작성 시기에 맞추어 간행하고, 죽은 후에 모아진 자료를 간행한 것이다. 「삼봉집」은 중국 한, 당, 송, 원의 다양한 서적이 활용되어, 정도전 사상의 知的 토대를 알게 해준다. 정도전이 개혁을 위해 활용한 서적은 「주자대전」, 「주자어류」, 「大學或問」, 「대학연의」, 「호안국춘추」이고, 왕안석의 「주관신의」와 「주례정의」, 「산당고색」과 백과전서식 類書이다.
    「經濟文鑑」에서는 인용 전거를 분명하게 표시하지 않았고, 인용표시를 하여도 잘못된 경우가 많다. 「周禮訂義」의 ‘呂氏曰’이라는 呂東萊의 말이 「經濟文鑑」의 ‘近按’이라는 權近의 말로 바뀌거나, 「周禮訂義」의 ‘愚按’ 곧 王與之의 말이 「經濟文鑑」에서 ‘道傳按’ 곧 鄭道傳의 말로 바뀐 것이다. 이러한 「經濟文鑑」의 인용 불철저는 성리학이 正統, 正學으로 받아들여진 시점에서, 주자가 비판한 事功學 계열의 類書를 드러내놓고 인용할 수 없는 정치상황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정도전은 성리학을 기초로 한 정치개혁을 추구하였고, 유학의 道統에 충실하며 불교 비판에 철저하였다. 단, 새로운 왕조의 정치체제를 확립하기 위하여 倫理道德, 人性 뿐만 아니라 제도와 법제에 관한 자료도 필요하였고, 이를 위해서 性理學의 外延이 확대된 經世論을 받아들였다.
    여선교체기 성리학을 정통, 정학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조선초기에 강화된다. 체제 안정을 위한 성리학의 윤리규범이 강조되고, 성리학을 國定敎學으로 확립해가면서, 불교, 양명학 등 성리학 이외의 여타 사상은 용납되지 않게 되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how a foreign philosophical trend was imported into Korea, and what were the characteristics of Jeong Do Jeon's thoughts, are examined through many references found in 「Sambong-jib」.
    「Sambong-jib」 was not compiled at once with a collection of Jeong Do Jeon's writings. His individual papers were compiled in a chronological order and then published, and materials collected after his death were published as well. In its compilation and publication, various sources such as books from the Chinese Han, Dang, Sung and Yuan eras were consulted, and it shows us the origin and intellectual basis of Jeong Do Jeon's philosophy. Books that Jeong Do Jeon consulted when he was devising his own ideas of reforms were 「Juja Daejeon(Grand collection of Ju Hi's words)」, 「Juja Eoryu(Remarks of Ju Hi)」, 「Daehak Hokmun/大學或問」, 「Daehak Yeoneui」, 「Hoanguk Chunchu」, and Wang An Seok's 「Jugwan Shineui」 and 「Juryae Jeongeui」, 「Sandang Gosaek」 and other encyclopedic texts(類書).
    Yet in 「Gyeongjae Mungam/經濟文鑑」, in many cases, sources of citation are not indicated definitively, or correctly. Yeo Dong Rae/呂東萊's remarks, which originally began with the sentence 'According to Yeo-shi(呂氏曰)...' in 「Juryae Jeongeui/周禮訂義」, were quoted as Gweon Geun/權近's remarks, with the sentence of ‘Gweon reasoned(近按)...’ in 「Gyeongjae Mungam」. Wang Yeo Ji/王與之's remarks, which began with the sentence ‘I humbly figure(愚按)...’ in 「Juryae Jeongeui」, were quoted as Jeong Do Jeon's own words, with the sentence ‘Do Jeon figured(道傳按)...’ in 「Gyeongjae Mungam」. This kind of 'false' citations in 「Gyeongjae Mungam」 seems to be the product of the political atmosphere of the time, when Neo-Confucianism was already accepted and embraced as the 'ultimate studies'(正統) or the 'ultimately valid studies'(正學), and it became difficult and awkward to openly quote encyclopedic texts authored in the line of Sagong-hak/事功學 studies, which Ju Hi had fairly criticised.
    Jeong Do Jeon pursued a political reform based upon Neo-Confucianism, so he was very faithful to the legitimate line(道統) of Confucian studies, and he also harshly criticised Buddhism. Yet, in order to establish a political structure for the new dynasty, he had to consult sources not only in the area of morality and human nature studies, but also in the area of laws and institutional researches. So he had to go beyond the realm of Neo-Confucianism, and embrace the general arguments that had been suggested by other Confucian scholars regarding the task of governing the world(經世論).
    The perspective which was established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Goryeo and Joseon, viewing Neo-Confucianism as the ultimate study, was even reinforced in the early days of Joseon. In order to secure national stability, Neo-Confucianism's morality and standards were emphasized, the study itself was established as a National doctrine, and other kinds of philosophy or religion, like Buddhism or Yangmyeong-hak studies, were no longer tolerated in the Joseo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