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보설화에서 바보를 보는 시각과 공생의 문제 (The View of Foolishness in a Fool Falktales and the Problem of Symbiosi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8.12
38P 미리보기
바보설화에서 바보를 보는 시각과 공생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51호 / 37 ~ 74페이지
    · 저자명 : 이강엽

    초록

    이 논문은 바보인물이 주변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문제에 중심을 두고, 바보설화에서 바보를 보는 시각과 바보설화에 나타난 공생의 유형과 의미에 대해 탐구하였다.
    첫째, 바보를 보는 시각은 세 방향이다. 바보인물은 조금 모자라기는 하지만 순박하고 성실한 인물이어서 조금만 도와주면 잘 지낼 수 있다는 시각과, 바보인물은 어리석기에 그를 속여 이득을 취할 수 있다는 시각, 바보인물을 속여 잇속을 챙긴 사람은 응징해 마땅하다는 시각 등이다.
    둘째, 바보인물과의 공생에 대해 살폈다. 여기에서 도출된 네 유형은 보통인물이 바보인물을 돕는 ‘조력형(助力型)’, 보통사람의 잘못이나 착각 등으로 인한 ‘전도형(轉倒型)’, 바보인물의 천진함이 보응을 불러오는 ‘천진형(天眞型)’, 바보인물의 갑작스러운 비약이나 행위의 연쇄에 급전이 일어나는 ‘비약형(飛躍型)’이다. 조력형의 바보인물들은 선량한 인물들로 주변인물들로부터 연민과 동정을 받는다. 전도형은 다수의 주류집단이 소수의 비주류집단에 비해 오히려 못한 모습을 보임으로써 일정 부분 균형과 화해의 지향 가능성을 내비친다. 천진형은 바보이기 때문에 세상일을 제대로 처리할 수 없었고 그 덕에 도리어 보답을 얻어내는 내용이다. 비약형은 누구나 귀하게 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열악한 삶 속에서의 희망이 되기도 하며, 인간이라는 이유만으로 귀하게 여기고 함께 살아나가야 함을 역설한다.
    바보이야기에서 이렇게 공생의 길을 모색할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점은 사회적 약자와 소통을 통해 함께 잘살아가는 길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 의미 있는 일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ypes and meanings of symbiosis demonstrated in fool folktales while focusing on the problem of symbiosis in which fool characters live together with others.
    First, there are three perspectives to view fools. First, the fool is a little bit foolish, but he is a sincere and simple person, so he can live well with just a little help. Second, the fool is a man who can be tricked and taken advantage of, and third, that person who took advantage of the fool should be punished.
    Second, I looked at the symbiosis with the fool. The four types derived from this are the “assistive type” where normal people help the fool, the “inverted type” due to the mistake or illusion of normal people, the “innocent type” where the fool's innocence retributes, and the “leap type” in which the situation suddenly changes due to a sudden jump or a chain of actions of the fool. Fool characters of the assistive type possess good personalities, and they receive compassion and sympathy from surrounding characters. The inverted type indicates the orientation of some balance and reconciliation by showing that many mainstream groups are rather inferior to a few minority groups. Within the innocent type, the fool characters ironically get rewarded from not being able to handle works properly. The leap type emphasizes that, considering that anyone can become valuable and can become a hope in a poor life, we should regard each other valuable just because we are humans and live out well together.
    The point that there exist such possibilities to seek ways of symbiosis in fool folktales is meaningful for finding a way to seek ways of living well together by communicating with the social wea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