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외를 보는 시선과 더블: 박경리 소설의 결손 인물 (Eyes for Exceptions and Double – Defective Characters in Park, Kyung-ni's Novel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5.08
32P 미리보기
예외를 보는 시선과 더블: 박경리 소설의 결손 인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35호 / 351 ~ 382페이지
    · 저자명 : 이상진

    초록

    박경리는 주제나 개성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인물을 창조했는데, 인간의 본성과 외양묘사를 유형적으로 그리는 인물형상화가 두드러진다. 그러나 신체적 정신적 결손을 지닌 인물의 경우 이런 유형성에서 벗어난 섬세한 인물화를 통해, 인간문제에 대한 깊은 성찰과 비극적 인식을 드러낸다. 이 논문은 박경리의 「해동여관의 미나」, 『나비와 엉겅퀴』, 「쌍두아」, 『토지』를 중심으로 결손인물들을 바라보는 시선과 형상화 특징을 살피고 이의 상호 텍스트적 문제도 아울러 고찰하였다.
    「해동여관의 미나」에서는 전쟁고아 및 양공주 2세의 신체를 바라보는 연민과 멸시의 이중시선이 나타난다. 이 불편한 시선은 『나비와 엉겅퀴』에서 전쟁으로 인한 신체장애자와 전쟁고아의 소외와 상처에 대한 은유로 발전된다. 이들에 대한 시선과 실존적 감정을 통해, 전후 사회에서 ‘양심’이라고 부르는 도덕적 기준이 붕괴되었음을 역설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전후의 내면적 불구성은 「쌍두아」에서 가시적인 신체 기형을 가진 인물과 더블로 형상화된다. 주인공이 자신의 더블인 그림자 인물을 대면하면서 느끼는 비이성적 혐오와 공포는 이 작품이 인간의 원죄의식, 억압된 것의 귀환을 암시하는 비극적 서사임을 보여준다. 이것은 다시 『토지』에서 곱추인 조병수에게 느끼는 최서희의 감정, 양소림의 기형적인 손을 보고 느끼는 최환국의 감정으로 이어진다. 이들이 느끼는 충격적인 혐오감과 견딜 수 없는 공포는 자아의 영속을 위협하는 억압되고 배제된 요소들이 가시화된 것을 보는 데에서 오는 ‘섬뜩함(Das Unheimlich)’으로 해석된다. 이는 정상성의 범위 안에서 살아남은 자가 가져야 할 죄의식으로서 ‘생명의 아픔’이며 작가가 견지해 온 비극적 인식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Park Kyung-ni's novels often feature characters whose personalities and characteristics show in typical manners. However, Park's characters with physical and mental deficit tend to differ from such typicalities, and are much more detailed. The author reveals deep insights and tragic awareness about human issues through such exceptional characters. This study draws on Park's works including Mina in Haedong Inn, The Butterfly and Thistle, Two-Headed Child, and Toji in order to study the author's perspectives on characters with deficit and the way that they are projected. This study also delves into the intertextuality issues rising from such characters as well.
    In Mina in Haedong Inn, we see the double vision of sympathy and disdain for and against war orphans and children of “yankee princesses.” This uncomfortable attention evolves into a metaphor for alienation and pain suffered by the war wounded and war orphans in The Butterfly and Thistle. By painting these characters and drawing realistic emotions, Park paradoxically criticizes the collapse of internal moral standard of “conscience” in the post-Korean War society.
    The internal disability of the post-war era materializes as a character with a visible physical deformation and double in Two-Headed Child. The irrational disgust and fear felt by the protagonist while dealing with a shadow character who is his double is evidence that the work is a tragic epic alluding to the return of the awareness for the original sin, and the depressed elements. This extends to the emotion felt by the character Choi Seo-hee in Toji, for the hunchback Cho Byeong-su, and the disgust felt by Choi Hwan-guk in the same novel, when he sees the deformed hand of Yang So-rim. The shocking disgust and irresistible fear is ‘das Unheimlich’, or revulsion, that comes from seeing the visualization of repressed and excluded elements that threaten the continuation of self. This is a normal sense of guilt, the “pain of living thing,” that has to be had by those who survived, and it is also Park's tragic awareness that she maintained in her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