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전선』을 통해 본 북한시학 형성기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ve Period of North Korean Poetics -Focusing on Munhwa Jeonseon(Cultural Front)-)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1.04
31P 미리보기
『문화전선』을 통해 본 북한시학 형성기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23호 / 253 ~ 283페이지
    · 저자명 : 이상숙

    초록

    이 논문은 1945-1948년을 북한시학 형성기로 정한다. 이 시기는 북한시의 모습을 문예지 『문화전선』을 통해 살펴보고자한다. 북한시가 김 부자 찬양 문학이며, 정치 선동의 구호일 뿐이라는 것은 일반의 상식이지만 이 상식을 실증적이거나 체계적으로 살핀 연구는 많지 않았다. 북한시가 김일성, 김정일 찬양과 체제 선전 일색의 정치 문학인지, 그렇다면 언제부터 어떻게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것인지, 감정과 정신의 예술인 문학이 정치화되는 과정의 충돌과 고민은 어떻게 드러나고 사라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당시 간행된 문예지 『문화전선』 전 5권을 살펴보고자 한다.
    1946년 7월에 창간된 『문화전선』은 시기적으로도 앞서 있을 뿐 아니라, 북조선예술총동맹 기관지로 당시 문학계의 대표 잡지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잡지에 실린 시와 관련 평론들을 통해 북한문학이 형성되는 초기의 상황과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문화전선』 전 5권에는 총 12명의 시인 27편의 시가 실렸다. 안룡만, 백인준, 리찬, 이원우, 조기천 등 북한 시단의 대표적 시인들의 시 27편은 다음 몇 가지 주제로 분류된다. 해방의 기쁨과 귀환, 토지개혁으로 대표되는 새 시대에 대한 희망, 소련에 대한 우호감정 등이 대표적인데 이는 북조선인민위원회 탄생을 기점으로 시의 정치성이 강화되고 김일성에 대한 찬양이 분명히 드러나게 된다.
    이러한 경향은, 새로운 시대에 대한 환호에서 출발하는 북한문학 초기 시와 평론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새로운 시대, 새로운 제도에 대한 호감과 이를 시로 표현하는 소박한 장르인식이 권력자에 대한 환호와 그에 대한 우상시로 쉽게 변화하게 하는 바탕이 된 것이다. 한설야의 「모자」 수거 사태와 「응향」 사건은 표현의 자유와 그 한계를 보여 주었을 뿐 아니라, 북한당국과 문학과의 수직 관계를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sets the period from 1945 to 1948 as the formative period of North Korean poetics. It aims to examine North Korean poetry of this period in Munhwa Jeonseon(Cultural Front). It is a common knowledge that North korean poems deal with the glorification of father and son, Kim, Ilseong and Kim, Jeongil and are slogans of political agitations. However,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which study and prove this empirically and systematically.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all 5 literary magazines Munhwa Jeonseon, published at that time to see whether North Korean poetry is a political literature, glorifying Kim, Ilseong and Kim, Jeongil and propagandizing the political system, then from when and how did it begin, how the crash and agony during the process in which literature as an art of emotion and mind was being politicalized.
    Published the first issue in July 1946, Munhwa Jeonseon is ahead of other literary magazines in time and has the meaning of a representative literary magazine as an organ of B'uk Joseon Yesul Chong Dongmaeng(General Association of North Korean Art) Poems and criticisms in this magazine allow us to look at the situation and change at the early formative period of North Korean literature. 27 poems of total 12 poets are appeared in 5 books of Munhwa Jeonseon. 27 poems of representative North Korean poets, such as Ahn, Ryongman, Baek, Injun, Lee Ch'an, Lee, Wonwoo, Cho, Gicheon a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hemes. THe joy of liberation and return, hope for a new age with land reform, friendship toward Soviet Union are often expressed in those poems. This reveals that with the establishment of B'uk Joseon Inmin Wiwonhoe (North Korean Council of People's) as a starting point,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poems are enforced and the glorification of Kim, Ilsung is clearly presented.
    This tendency can be explained in early North Korean poems and criticisms which begin with acclamation for a coming new era. Simple recognition on literary genre expressing good feeling toward a new age and new system in poems becomes the basis for the easy change of poems presenting cheer for the man of power and idolization of him. Han, Seolya's taking back of his short novel 'Moza'(Hat) and poem book 'Unghyang' incident clearly show not only freedom of express and limitation of it and also the vertical relation between North Korean authorities and literature. This paper proves the literary mechanism effected in this relation with poems and criticisms in Munhwa Jeon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