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유재의 관점에서 본사찰 재화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on Goods Found in Temple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6.06
32P 미리보기
공유재의 관점에서 본사찰 재화의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78호 / 691 ~ 722페이지
    · 저자명 : 조진영

    초록

    본 연구는 사찰의 재화를 사유재, 클럽재, 공유재, 공공재 등 네 가지로 유형화한 다음 봉은사라는 특정사찰의 재화가 어떤 특징을 갖추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불교의 사찰은 유형, 무형의 많은 재화를 가지고 있으며 한반도의전통문화 창달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종교사회로 진입되면서 불교의 재화들이 점차적으로 사유재 혹은 클럽재 등의 성격으로 활용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오랜 역사 속에서 형성된 불교의 각종 재화는 문화재로서의 공공재적 특성이 강하였고, 지역사회의 거점 사찰로서 지역문화의 이정표 역할을 하는 공유재의 특성도 갖추고 있다. 그런데 최근 여러 종단이 난립하고, 사설사암이 증가하면서 사찰 재화의 특성이 변하는 과정에 있다. 그렇지만 한국불교계와 사찰들이 본래의 주어진 종교적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공유재와공공재의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
    첫째, 사회적 자본으로 기능할 수 있는 무형의 사찰 재화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야 한다. 사찰은 사회적 네트워크 구축의 중심에서 활동함으로서사회적 가치관 형성, 구성원 사이의 신뢰감 확보, 상부상조하는 협동심과 협력체 결성 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둘째, 사찰의 재화를 공동체 자산으로 인식하고 공급할 필요가 있다. 사찰의 재화는 지역사회 공동체 구성원들의 이익 증진을 위해 공유하는 방법을적극 모색해야 한다. 사찰은 지역사회에 위치하고 있고 포교활동의 범주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 지지기반 확보를 위해서도 공동체의 일원이 되는것이 중요하다.
    셋째, 복전사상의 실천을 통해 사찰 재화를 공익적 자원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즉, 사찰의 재화가 공익적 자원으로 활용된다는 것은 누구나 이용할수 있고, 공공의 이익을 증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erties held by temples, Bong-eun-sa Temple in particular. I have established four categories of ‘temple goods’: private goods (private property), club goods (public property but excludable to use), common goods (non-excludable common pool resources property), and public goods (public property).
    Buddhist temples have many tangible and intangible goods. One example of an “intangible good” is the Vulture Peak Ceremony (靈山齋 a form of the forty-ninth day memorial ceremony 七七忌). Temple goods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in Korean society.
    However, with the appearance of new religious cultures in Korea, Buddhist temple goods have gradually turned to the character, either private or club type of goods.
    The properties Buddhist temples have accumulated over the centuries seem to have characteristics of being public goods. They also have characteristics of being common goods through which temples became the centers of local communities and represented local culture.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temple goods are now changing due to the increase of private temples and competition from denominations within the Buddhist community. In order for Buddhism and its temples to continue to carry out their original mission, I suggest that the role of these Buddhist common goods and public goods should be reestablish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ntangible temple goods, which function as social capital, should be continuously produced. While functioning as a center for establishing social networks, temples should have an active role in the following: the formation of social values, establishing trust among members, cooperating and collaborating with one another.
    Second, a temple’s goods should be recognized and provided as community goods. Ways of sharing temple goods should be established to benefit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Since temples are located in communities and do missionary work there, it is important for them to be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to obtain local support.
    Third, temple goods should be used as community resources through the practice of merit or blessings (福田). This includes providing services and public facilities to assist the poor. In other words, temple goods should be used as a common resource. This means that everyone should have access to them and they should be used for the common go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