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맥락으로 본 <一夜九渡河記>의 구성 전략 (The Constituent Strategics in in terms of the Contex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09.09
26P 미리보기
맥락으로 본 &lt;一夜九渡河記&gt;의 구성 전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23호 / 175 ~ 200페이지
    · 저자명 : 박수밀

    초록

    박지원의 작품을 맥락과 예상 독자에 주목하여 작품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그 첫 작업으로서 <일야구도하기>를 분석하였다. <일야구도하기>를 사건이 일어난 날짜에 배치하고 맥락 속에서 바라보면 기존 논의에서는 주목하지 않은 점들이 발견된다. 첫째, ‘위험함’이라는 제재가 주요한 화제로 반복해서 나온다. 맥락 속에서 <일야구도하기>의 중심 화제를 이끌어내면 ‘강물을 건너는 위험함과 그 극복’에 관한 것이다. 둘째, 소경 삽화는 작품의 주제를 상징하는 은유다. 곧 맥락에서 접근하면 <일야구도하기>는 ‘위험함’, ‘소경’이라는 어휘가 작품을 이해하는 중요한 상징으로 부각된다. 또 두 어휘는 작품 간의 맥락에서 현실 인식을 드러내주는 중요한 표지로 작용한다. 연암이 고삐를 푼 행동도 무지 몽매한 습속에의 거부이자, 새로운 깨달음의 세계로 나아가려는 극적인 시도이다. 말의 고삐를 푼 행동은 명심(冥心)의 구체적 구현물이다. 전후 맥락에서 볼 때 연암은 명심을 귀와 눈만을 믿는 신이목자(信耳目者)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곧 연암의 명심은 감각 세계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그리하여 명심을 객관 세계를 올바로 파악하는 중요한 방법론으로 내세웠다. 이것이 일반이 생각하는 명심과는 다른 연암 고유의 명심에 대한 의미 부여이며, 따라서 명심이 연암 세계관을 이해하는 핵심어로 부상될 수 있는 것이다. 맥락 속에서 바라보면 명심은 구체적 경험과 결합해 사회 인식과 관련되고 현실 대응 태도를 드러내는 방법론적 개념이 된다. 마지막 구절은 이 글의 궁극적 주제의식이자 예상 독자에게 건네는 신랄한 비판의식을 담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pproaches the works of Park, Ji-Won in terms of the context and on the focus of unknown expected readers. 'Il-Ya-Gu-Do-Ha-Gi' is chosen to be analysed as the first work. The new aspects which have never been caught before in this work are revealed when we arrange the accidents by date and in terms of the context. Firstly, the subject matter of 'dangerousness' is repeated as a main topic of conversation. In the context, the main topic of conversation of 'Il-Ya-Gu-Do-Ha-Gi' is the dangerousness of crossing over the river and its overcoming. Secondly, the episode of the blind is a metaphor standing for the subject of the work. In the context approach of the 'Il-Ya-Gu-Do-Ha-Gi', 'the dangerousness' and 'the blind', these words are revealed as the main symbols for understanding this work. Andmore, these two words play a main role in revealing the recognition of reality in the contexts of the works. The act of fastening the horse by the bridle is a kind of dramatic trial to go into the world of new recognition and an expression of rejecting the manners and customs in the lack of enlightenment. The act of fastening the horse by the bridle is the concrete embodiment of Myoung-Sim. Yeon Am(Park, Ji-Won) uses Myoung-Sim as a contrast concept against 'Sin-Nee-Mok-Ja' which relies only on the ears and eyes, through the first and last contexts. This means that the 'Myoung-Sim' of Yeon Am's is a contrast concept against the world of sense. In this way, Yeon Am sets 'Myoung-Sim' on the important approach in appreciating the objective world in a correct way. This is an unique meaning of Yeon Am's different from the general meaning of 'Myoung-Sim', so 'Myoung-Sim' is to be a main word in understanding his outlook. In the context, 'Myoung-Sim' is a methodological concept associated with concrete experiences, being connected with the recognition of the world, and revealing the attitude of confronting the reality. The last passage is the ultimate sense of subject of this work and it contains the sense of bitter criticism for the unknown expected read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