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기적 관점에서 본 사상의학의 心慾 이해 (The Understanding of desire of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from the Perspective of Dependent Co-arising)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3.04
21P 미리보기
연기적 관점에서 본 사상의학의 心慾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64호 / 175 ~ 195페이지
    · 저자명 : 박서연

    초록

    불교의 십이연기설에서 苦는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 조건에 의해 연기한 것이며, 苦의 발생에는 갈애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상의학을 창시한 동무 이제마는 사람의 心慾을 밝게 알아서 수양하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고 하였다. 갈애와 심욕은 모두 욕망의 범주에 해당하며, 인간 苦의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초기경전에 의하면, 갈애는 괴로움을 일으키는 근본 원인이며 再生을 초래하고 환희와 탐욕이 함께하며 여기저기서 즐기는 것이다. 이러한 갈애는 무상한 것이고 생멸하는 것이라고 관찰하는 것을 통해 厭離하고 離欲하며 해탈한다. 동무 이제마는 聖人과 衆人은 선천적으로 결정된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心慾을 어떻게 조절하느냐에 따라 구분된다고 하였다. 그는 욕망의 마음이 움직여서 편벽되게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고, 희노애락의 未發과 旣發을 中‧節과 관련지어 설명한다. 희노애락이 아직 發하기 전에 조심하는 것을 ‘中’과 관련지어 설명하였는데 이는 십이연기설의 유전연기에서 갈애에서 取着으로 전개되지 않는 것과 유사하며, 이미 발동한 후에 강제로 뽑아내지 않고 스스로 반성하는 것은 ‘節’과 관련지어 설명하였는데 이는 환멸연기에서 이미 연기한 괴로움을 소멸하기 위한 중도적 실천 방법과 비교해 볼 수 있다. 희노애락의 未發과 旣發을 안다는 것은 매순간 깨어있음이며, 이 자체가 수양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동무 이제마는 희노애락의 未發과 旣發에 대한 현실적인 실천 수양의 방법으로서 中과 節을 말하였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상의학에서 中․節을 실천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壽福을 누리게 된다고 한 것은 십이연기설에서 갈애의 滅盡을 통해 무고안온의 열반을 실현하는 것과 상통한다. 苦의 해결을 위해서는 中․節의 실천과 함께 욕망의 대상이 실재하지 않는다는 근본적인 자각이 필요하며, 붓다와 이제마는 인간 고통의 해결점을 그 어떤 외부적인 원인에 의해서가 아닌 인간 자신에게서 찾는다는 점에서 인류에게 유익한 사고의 전환을 가져다주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Dependent co-arising is an objective and universal law founded by the Buddha. According to the law, all sufferings arise from various kinds of conditions. Dependent co-arising is explained along with the theory of twelve links of dependent arising. Craving or thirst (渴愛) plays most important role in the cessation of sufferings among the twelve phases of conditioning. According to the early Buddhist sutras, craving is considered as the cause of sufferings, seeking pleasure in life. In craving, there are three kinds; craving for the sensual desire, craving for existence, and craving for non-existence. The concept of covetousness and greed is included in craving. We can attain liberation only when we get away from craving, contemplating that it is dangerous, impermanent, and not lasting one. In similar perspective,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四象醫學) puts stress on the spiritu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also emphasizes that we should not raise our desire with greed in a wrong way which harms us. Lee Je-ma founded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n the later period of Joseon Dynasty, a method whereby he divides people into four classifications based on their inherent traits. He divided the difference between saint and ordinary people not by the physical condition but by the acquired desire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people's efforts. According to Lee Je-ma, human desire can be controlled in two ways. One is self-sufficiency, and the other is self-control.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based on the spiritual practice of self-control and self-sufficiency. Lee Je-ma says that even though desire is the main cause of disaster, we can eliminate our disaster by practicing our body and mind. Lee Je-ma mentioned about moderation (中) and restraint (節). He explained that self-control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appearance of joy-anger-sorrow- pleasure (喜怒哀樂). Before the emotions appear, we should keep moderation (中) which is similar to the theory of twelve links of dependent arising where the stage of craving does not develop into grasping or appropriation (取). After the emotions appeared, on the other hand, restraint as a compromising method is required to eliminate the suffering which can be compared with the reverse order of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arising. According to Lee Je-ma, if we try to approach moderation, even though we can not accomplish moderation, we can enjoy fortune and longevity by getting away from bad luck while inviting good luck. Everyone seeks fortune and health. Seeking happiness through moderation and restraint is quite similar to the theory of twelve links of dependent arising where nirvana is attained by eliminating our sufferings. In conclusion, Buddha and Lee Je-ma gave us the useful turn of conception. In addition to the practice of moderation and restraint, we have to be aware that the object of desire does not exist in other to remove suffer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