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본(畵本)으로 본 석굴암 창건시기 (The Time of Building Seokgulam Estimated with model painting(畵本))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1.03
30P 미리보기
화본(畵本)으로 본 석굴암 창건시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31권 / 7 ~ 36페이지
    · 저자명 : 한정호

    초록

    석굴암은 한국 고대 불교미술의 기념비적인 유적으로 그 창건시기는 8세기 중엽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석굴암 창건시기가 8세기 중엽으로 정착된 원인은무엇보다도 『삼국유사』의 불국사 창건기록의 영향이 크다. 그러나 『삼국유사』의석굴암 창건설화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결과 이 기록은 석굴암 창건 당시의 상황을 반영한 기록이라기보다는 고려시대 불국사 종파의 변화과정이 내포된 설화로 판단된다. 그리고 설화의 내용 중에는 석굴암 창건보다는 오히려 중수와 연관하여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인 부분도 있기 때문에 석굴암 창건시기는 문헌기록과 작품을 분리해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초에 걸쳐 동아시아 불교미술이 국제적으로 공통적인 경향을 보이는 현상과 더불어 당시 유통되던 畵本을 주목하였다. 화본은 당시 새롭게 정립된 도상과 양식의 전파에 가장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되어 석굴암 조각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석굴암 조각상과 동일한범주의 화본을 바탕으로 제작된 작품사례를 발굴하고 그 조성시기를 비교하는 방법은 문헌기록에서 벗어나 석굴암 창건시기에 접근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석굴암 조각상과 동일한 화본을 바탕으로 제작된 작품은 주로 중국의 용문석굴의 7세기 후반의 신장상과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초로 편년되는 일본의 호류지(法隆寺) 전래 불교미술에 집중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본문에 제시한 호류지 금당벽화의 十大第子圖와 菩薩圖는 조각과 회화라는 차이점 이외에는 다른 점을 찾기 어려울 만큼 석굴암 조각상과 흡사하다. 뿐만 아니라 석굴암 조각상은 호류지 금당벽화에 비해 模本을 보다 충실하게 반영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처럼 동일한 범주의 화본이 유통된 시기와 작품을 분석한 결과 석굴암 창건시기는 경덕왕대가 아니라 710년을 전후한 성덕왕대로 편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Seokgulam is one of the monumental relics of ancient Buddhist art in Korea, and the time of its foundation is generally seen as the mid-8th century. One of the biggest reasons why the time of building Seokgulam has been settled as the mid-8th century is the influence of records about Bulguksa’s creation contained in 『Samgukyus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story of Seokgulam’s foundation in 『Samgukyusa』 critically, however, it is thought to be a tale implying the changes of Bulguksa sects in Goryeo rather than a record reflecting the situation of the time when Seokgulam was created.
    Besides, it is reasonable to analyze some parts of the tale in association with Seokgulam’s restoration, not foundation; therefore, the time of building Seokgulam may have to be reexamined by distinguishing the literatures from the works.
    Here, this author pays attention to the phenomenon of the late 7th up to the early 8th century that East Asian Buddhist art tended to be similar globally and also model paintings(畵本) distributed then. Model painting was adopted as the most useful means to spread the icons and styles newly established then and influenced the sculptures of Seokgulam, too, directly. Therefore, it can be an alternative to approach the time of building Seokgulam being freed from the literatures to excavate the examples of works produced with model painting falling in the same category of Seokgulam statues and compare the time of building.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the works made with the same model painting of Seokgulam statues were mainly the late 7th-century statues of Sinjang from Longmen Cave in China and also Buddhist arts transmitted from Hōryū-ji(法隆寺) in Japan chronologically recorded as the late 7th till the early 8th century. In particular, it is hard to find any difference between the painting of the Ten Principle Disciples(十大第子圖) and the painting of Bodhisattva(菩薩圖) on Hōryū-ji Geumdang Mural presented in the body and Seokgulam statues except the fact that the former is a painting and the latter is a sculpture. In addition, compared to Hōryū-ji Geumdang Mural, Seokgulam statues are considered to reflect the model more faithfully. As written abov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ime of distributing the same category model painting and the works indicate that it is valid to record the time of building Seokgulam not as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but as that of King Seongdeok around 710.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