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잡지 『신천지』를 통해서 본 ‘전후인식’ 양상 (The Aspects of the ‘Post-war Perception’ seen through the Magazine Shincheonji)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6.06
27P 미리보기
잡지 『신천지』를 통해서 본 ‘전후인식’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계문학비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세계문학비교연구 / 55호 / 39 ~ 65페이지
    · 저자명 : 이희정

    초록

    이 글은 1946년 1월에 창간되어 한국전쟁 기간을 거쳐 1954년 말까지 발간된 잡지 『신천지』를 통해 한국문학사에서 전개된 ‘전후’ 인식의 특이점을 고찰한 것이다. 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이라는 두 개의 전쟁을 치른 한국 사회 내에서, ‘전쟁’과 ‘전후’라는 개념이 문단 내에 어떠한 의미로 구조화되고 있는 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2014년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일본학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해방 후, 매체 속에 나타나는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에 대한 기호는 각 시대와 당시 잡지의 매체적 지향 속에서 구성되었다. 두 개의 전쟁 이후에 나타나는 국가재건 양상은 서로 비슷하지만 사뭇 다른 목표를 지니고 있었고, ‘전쟁’에 대한 인식 또한 상이하게 드러났다. 『신천지』에서는 우선 ‘세계대전’ 이후의 ‘전후’ 한국은 참전국이 아니라 ‘해방’을 맞이한 전쟁의 수혜자로서의 인식이 형성되었음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이 전쟁에 대한 ‘은폐’, ‘회피’의 결과가 아니라 적극적 의도 속에서 수행된 것이었다. 한편 ‘한국전쟁’ 이후의 ‘전후’ 한국에서는 ‘3차 세계대전’의 피해자로서의 인식이 형성되었음을 볼 수 있다. ‘한국전쟁’은 ‘미·소 냉전’의 산물인 ‘3차 세계대전’이었으며, 해방 후 염원했던 자주독립국가 건설의 실패로 발생한 전쟁이었던 것이다.
    2개의 전쟁 이후 한국사회는 이처럼 서로 상이한 ‘전후’ 인식을 바탕으로 ‘전쟁’의 트라우마를 처리해 나갔다. ‘2차 세계대전’ 이후의 한국사회는 완전한 ‘자주독립국가’ 건설을 위한 목표를 앞세우며 전쟁의 트라우마를 처리해 나갔으며, ‘한국전쟁’ 이후의 한국사회는 전쟁 발발의 원인인 ‘공산진영’의 퇴치를 위해 강력한 반공이데올로기 형성에 주력하며 전쟁 트라우마를 처리해 나갔다. 그런데 이것은 당시 사회 주도 세력의 정론적 담론 형성을 위한 방안으로 구조화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국민의 전쟁 ‘트라우마’에 대한 치료는 철저히 외면당했음을 알 수 있다. 『신천지』에서 전개되었던 ‘세계문학’과 ‘순수문학’ 담론이 이러한 현상을 주도하였다.
    결국 근대 한국사회가 겪었던 두 개의 전쟁은 이후 서로 상이한 모습으로 인식되면서, 분단문제를 고착화시키고 이데올로기의 획일성을 주도하는 모습으로 나아갔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ingularities of the post-war perception in the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based on the magazine ‘Shincheonji’, which was published throughout the Korean War up to 1954 since its first publication in January 1946. The thesis attempts to disclose how the meanings of both concepts of ‘war’ and ‘post-war’ are structuralized in the literary world within the Korean society, which suffered the World War II and the Korean War.
    After the liberation, the experience of Korean society regarding the World War and the Korean War, as seen in the literary medium, was utilized to justify the discourse of the groups that wished to lead the social atmosphere of that time. Although both post-liberation and post-war national reconstructions seem similar to each other, they are both different in terms of their goals. The perception of post-war Korea after the ‘World War’ is not that of a combatant nation but that of a beneficiary of the war. This was not an attempt to ‘conceal’ or ‘avoid’ the war but rather to take on an active intent. Meanwhile, the perception of being a victim of the Third World War was shaped in the ‘post-war’ Korea after the ‘Korean War’. The Korean War was ‘World War III’, the product of the Cold War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and a war which broke out from the failure of building an independent nation, which was so longed for.
    It is in such contrasting perceptions that the Korean society processed its war trauma. The ‘post-World War II’ Korean society handled the war trauma by putting its goal of building an independent nation on the forefront, while the ‘post-Korean War’ Korean society dealt with the war trauma by focusing its efforts on establishing a strong anti-communist ideology to repel the communist camp which caused the outbreak of the war. However, it is worth to take notice that this was materialized as a methodology to structuralize a sound discourse for the leading forces of the society. In this process, the healing of the Korean people’s war trauma was left completely disregarded. Shincheonji took the lead in this phenomenon, as seen in its discourse of the ‘world literature’ and ‘pure literature’.
    Eventually, the two wars propelled ideological uniformity and the fixation of the nation’s division issue, as the two wars, which the modern Korean society experienced, were perceiv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계문학비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