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서(史書)를 통해 본 가야․가야인식 (Gaya (伽倻) and the Awareness of Gaya Viewed from Historical Book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6.08
31P 미리보기
사서(史書)를 통해 본 가야․가야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73호 / 183 ~ 213페이지
    · 저자명 : 박양리

    초록

    본고에서는 가야의 문학적 탐구를 위한 시론적 작업으로서 우리 선조들이 가야를 어떻게 기억하고 있었는지를 사서(史書)를 통해 살펴보았다.
    역사와 신화의 경계로서 가야는 신성한 왕이 다스리는 국가로 기억되었다. 특히 수로왕은 건국신화의 주인공으로 존숭되었다. 가락국의 후손인 김해 김씨와 허씨 가문은 가문의 근원으로서 가야를 인식하였다. 이들은 수로왕릉의 능묘를 보존하고 그 위상을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그 결과 조선 후기에 이르러 수로왕릉은 국가적 차원에서 제례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가야의 건국신화적 인식에 대해 조선조의 지식인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익과 안정복, 정약용 등 실학자들은 가락국의 신화가 허탄하여 믿을 수 없다고 보았다. 대신 이들은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태도로 우리 고대 국가로서 가야의 존재를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정약용은 가야의 역사가 고대사에 있어서 신라 못지 않게 중요함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가야에 대한 다양한 인식은 가야가 단순히 박제된 고대사가 아닌 오랜 시간동안 기억되었던 살아 움직이는 역사로 존재했음을 의미한다. 가야는 기억하는 이들의 입장과 목적에 따라 달리 인식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가야인식이 문학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탐구하고, 나아가 현재의 시점에서 가야를 어떻게 기억해야 하는지는 앞으로의 과제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work on public opinion of the Gaya confederacy (伽倻, AD 42~562) for the purpose of literary research, thus is to examine how ancestors in Korea remembered Gaya through reviewing historical books. As the boundary of history and myth, Gaya was remembered as the nation ruled by the holy king. King Suro (首露王), in particular, was worshiped as the mythical hero that gave birth to the nation. He was believed to be the root of the Kim and Heo clans of Gimhae, who are the descendants of the Gaya people. They preserved the tomb of King Suro and made incessant efforts to raise its status. As a result, by the late Joseon Dynasty, national rituals were organized for the royal tomb of King Suro. However,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remained negative concerning the Gaya mythology. Leading scholars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實學), such as Yi Ik(李瀷), An Jeong-bok (安鼎福) and Jeong Yak-yong (丁若鏞), saw that the Gaya myth was groundless and unreliable. Rather, they made an attempt to disclose, objectively and empirically, the existence of Gaya as Korea’s ancient kingdom. Especially Jeong Yak-yong treated the history of Gaya as much important as that of the Silla Dynasty. The existence of such various perceptions on Gaya indicates that Gaya was not merely an ancient history kept inside a glass case but a living history cherished by many for a long time. Gaya was perceived differently by those who held different stances and purposes. And, concerning how Gaya is to be remembered today, homework still remai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