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르시시즘 윤리 관점에서 본 나홍진 감독의 삼부작 (The Diversification of Korean Genre Films and Musical Films in the late 1950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1.07
27P 미리보기
나르시시즘 윤리 관점에서 본 나홍진 감독의 삼부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영화연구 / 14권 / 2호 / 205 ~ 231페이지
    · 저자명 : 강성한

    초록

    나홍진 감독의 삼부작 영화 <추격자>(2008), <황해>(2010), <곡성>(2016) 속에 드러나는 동일자 중심 세계관에 대한 비판을 나르시시즘 윤리의 관점에서살펴보았다. 이 영화들은 윤리적 주장을 감추고 악인들로 가득찬 세계를 꾸며서상징적 믿음이 소멸한 공간을 배회하는 나르시시스트를 묘사한다. 영화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인물들의 심리적 역동과 내러티브가 드러내는 가학성과 피학성그리고 반사회적인 윤리의식이 무엇이었는가를 밝힌다. 이 작업은 이상적 자아와 맺는 공격적 경쟁관계가 작동하는 나르시시즘 윤리의식을 기반으로 한, ‘주체내부의 타자’, ‘주체의 분열’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폭력적 윤리를 살펴보았다. 또한 그의 영화는 레비나스의 ‘타자의 윤리관’을 소환한다. 영화에는 ‘벌거벗은얼굴로 나를 질책하고 불의를 고발하는 타인’의 모습이 등장한다. 바로 피해자- 여성 얼굴 클로즈업이다. 이는 장르적 쾌락의 냉담성과 반윤리성을 반성적으로사유하고 고통의 얼굴을 외면하지 않는 감독의 메시지를 환멸로 해석하기보다는미래를 향한 건설적 윤리관으로서, 자아의식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유지한다. 폭력과 윤리 삼부작 작품들이 함의하고 있는 나르시시즘적 윤리의식의 진정한 문제는 주체의 몰락이 운명처럼 예정된 길 위에 있다는 점이다. 특정 인물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 점점 더 많은 것들을 희생하게 된다. 인물들의 공격성은 그들의 일부인 이상적 자아를 향하는 것이므로 결국 그들 자신을 향하는 것이다. 그들이 포기하지 못하는 고통스런 폭력은 주체가 이상적 자아와 맺는 공격적 경쟁 관계가 오늘날 작동하는 윤리의식의 근본기제라는 점이다. 그리고 이 영화들은죄의식의 문제를 보여준다. 세상에서 가장 약한 존재, 돌봐줘야 할 대상을 돌보지 못한 죄책감, 이런 모티프가 그의 영화에 반복되어 나타난다. 여자들의 주검의 ‘얼굴’이 그 하나이다. 그의 영화에서는 이들을 상실하게 만든 폭력적 세계에대한 담론화를 시도하며, 상실된 타인에 대한 윤리적 책임과 당위적 질문을 던지고 있다.

    영어초록

    It looked at the criticism of the same-character-centered worldview in director Na Hong-jin’s trilogy “The Chaser” (2008), “The Yellow Sea” (2010), and “The Wailing” (2016) from the perspective of narcissism ethics. These films portray a narcissist who hides ethical claims and embellishes a world full of evil people, wandering around a space where symbolic beliefs have disappeared. Analysis of the films reveals what the characters’ psychological dynamics and narratives reveal, sadism, academicity, and antisocial ethics. This work looked at violent ethics in two aspects, “The batter inside the subject” and “The divisio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narcissistic ethic consciousness in which the aggressive competition with the ideal self works. His film also summons Levinas’s ‘The Ethics of the Batter’.
    The movie features a scene of “someone who rebukes me with a naked face and accuses me of injustice.” It’s a close-up of the victim-female face. Rather than reflecting on the coldness and anti-ethics of genre pleasure and interpreting the director’s message of not turning a blind eye to the face of pain as disillusionment, it maintains a constructive ethics view of self-awareness. The real problem with narcissistic ethics, which is implied by the works of violence and ethics trilogy, is that the subject’s fall is on a path as planned as fate. Certain characters sacrifice more and more things without even realizing it.
    The aggression of the characters is directed at the ideal ego that is part of them, and therefore towards themselves. The painful violence they cannot give up is that the aggressive competition the subject has with the ideal self is the fundamental mechanism of ethical consciousness that works today. And these films show the problem of guilt. The weakest being in the world, the guilt of not taking care of the object to be taken care of, and this motif appears repeatedly in his film. The “face” of women’s bodies is one.
    The film attempts discourse on this lost world with accusations of the lost object Mi-jin’s face floating in an aquarium in “The Chaser,” his dead wife’s beautiful return in “The Yellow Sea,” his daughter’s brightness in “The Wailing” - and the violent world that caused them to be lost by bringing them into the discourse. The appearance of such a batter in Na Hong-jin’s film sends ethical responsibility and justifiable orders to others who have been lo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