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사진으로 본 조선 초기 왕릉의 원형 (The Appearance of the Royal Tombs of Joseon in Photos Taken in the Early Modern Period)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4.06
26P 미리보기
근대 사진으로 본 조선 초기 왕릉의 원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69호 / 325 ~ 350페이지
    · 저자명 : 전나나

    초록

    조선왕릉은 조선을 통치한 왕과 왕후를 비롯하여 추존된 왕과 왕후의 무덤이다. 조선왕릉은 조선을 건국한 이후로 꾸준히 조성하였으며, 일제강점기까지도 고종과 순종의 능을 조성하였고, 그 능을 지금까지도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왕릉에 대한 다양한 조선 후기의 사료가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조선왕릉으로 분류되지 않기도 하였고, 조선왕릉의 목조, 석조물의 원형을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특히 함경도 소재의 팔릉은 태조의 선조가 안장된 능으로 북한에 위치하였고, 추존 왕의 능인 까닭에 조선왕릉의 범주에 포함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일제 강점기를 전후로 촬영한 함경도 팔릉의 사진을 통하여 조선 초기에 조성된 덕릉․안릉은 고려 후기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릉․정릉과 유사성을 갖는다고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팔릉 중의 하나인 정릉․화릉도 조선 초기 능의 특징을 지니며, 후기까지 꾸준히 관리되어왔다. 태조의 비 신덕왕후의 정릉은 현재 정자각 옆에 수라간이 없고, 석물 부재가 없는 경우가 있는데, 근대 사진을 통하여 수라간의 위치와 모습을 파악하였고, 석물 부재를 확인하였다. 세조와 정희왕후 광릉은 현재 홍살문과 정자각을 잇는 향로가 없는 모습이지만, 20세기 초 사진으로 향로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근대 사진과 문헌을 토대로 조선왕릉의 원형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Royal Tombs of Joseon are the tombs of Joseon kings and their wives, including posthumously named kings and their wives. All these tombs of the royal couples, including those of the last kings, namely, King Gojong (r. 1863-1907) and King Sunjong (r. 1907-1910) and their wives have been preserved in good condition. However, some tombs have not been classified as Royal Tombs of Joseon due to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colonial period (1910-1945), despite the existence of historical materials that confirm their status as Royal Tombs.
    The Palleung Royal Tombs (referring to the eight tombs of the father, grandfather, great-grandfather, and great-great-grandfather of King Taejo,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ir wives, who were posthumously named kings and queens) in Hamgyeong-do, North Korea is sometim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Royal Tombs of Joseon. Photos of Deongneung and Alleung (the tombs of King Taejo’s great-great-grandfather and his wife, built in the early Joseon Period) taken during the colonial period show that they were similar to Hyeolleung and Jeongneung (the tombs of King Gongmin of Goryeo and his wife). Jeongneung and Hwareung, which count among the eight Royal Tombs mentioned above, were maintained in good condition until the late Joseon Period.
    Photos of Jeongneung, the tomb of Queen Sindeok, the wife of King Taejo, taken in the early modern period show the existence of a kitchen for preparing food to be served to the dead, along with stone cooking implements, which have since disappeared. Meanwhile, photos of Gwangneung, the tombs of King Sejo and his wife, taken in the early 20th century show a spirit road, which has also disappeared. The photos taken in early modern times and the relevant literature give a reasonably accurate idea of what the Royal Tombs of Joseon looked lik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