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天台에서 본 漢岩스님의 선사상 (Hanam's Ideology of Seon from the Point of T‘ien-t’ai Vie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4.06
30P 미리보기
天台에서 본 漢岩스님의 선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70호 / 163 ~ 192페이지
    · 저자명 : 김종두

    초록

    현대 한국불교의 사표이신 漢岩(1876∼1951)스님은 철저한 계율과 수행으로 한국불교를 이끌어 오신 큰 스승이시다.
    禪師께서는 항상 간화선을 최고의 수행법으로 삼으시고, ‘僧家五則’을 제정하여 수행과 일상생활이 일체화된 수행규범을 제창하셨다. 참선, 간경, 염불, 의식, 가람수호, 이 다섯 가지는 참다운 수행자로 거듭 나게 하고 승가를유지, 발전케 하는 한국불교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한암스님과천태는 몇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한암스님은 승가오칙과 선원규례와 특히 계잠에서 외적으로는 몸가짐을 청정하게, 안으로는 마음가짐을 청정하게 하면서, 대중과의 융화단결로써 좌우명을 삼고 있다. 이것은 항상 계율을 엄정히 지키고 그것이 결국은 선정수행으로 이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고, 천태는 계율의 지킴과 참회를통해 선정수행의 중요성을 강조한 점에 그 공통점을 찾을 수가 있다. 다만천태는 계를 어기더라도 참회의 방법을 도입하여 선정으로 나아갈 수 있는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점이 특색이다. 그래서 한암과 천태 모두 계정혜가 균등해야 함을 강조한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는 한암스님의 염불화두선과 천태의 칭명 및 실상염불로서, 이 둘의공통점은 모두 단순한 칭명염불에 의하여 서방정토극락세계에 왕생하는 것이 아니라 염불이 지관수행을 위한 보조적 수단이거나, 단순히 목소리를 높혀 부르는 염불이 아니라 염불하는 자가 누구인가를 참구하는 염불화두선에가치를 두고 있다. 이것은 방법만 다를뿐 진리를 본질적으로 체득하는 모습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셋째는 한암은 인천의 스승인 승려는 중생을 교화할 식견을 갖추어야 하고 삼장을 공부하라고 말씀하고 있다. 그리고 안거 중에도 경전의 독송과 소의경전 전반에 관한 특강을 통해 교와 선이 둘이 아님을 몸소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禪敎雙修의 관점은 천태의 四種三昧 가운데 반행반좌삼매에서도볼 수 있다. 즉, 경전의 독송과 좌선을 겸수하는 이 선법은 선수행 방법의 다양화를 위해 깊이 참고해볼 만한 수행법이다.
    일반적으로 한암스님과 천태는 공통점이 없을 것이라는 선입견이 있었다.
    그러나 계정혜 삼학을 수행하고 선교쌍수와 염불을 단순히 칭명하여 왕생극락을 바라는 것이 아닌 진리를 체득하는 방법으로 여긴 점에서, 그 지향하는 목표점이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Hanam(漢岩), a representative teacher of modern Korean Buddhism,is a great master who led Korean Buddhism with restrict religious preceptsand practice. There are some commons between Hanam and T‘ien-t’aiFirst, in Five regulations of Shangha, Hanam took mottos, externallyfor proper defiled behavior, internally for pure mind, and for unitedharmony with people.
    We can find out the common in that T‘ien-t’ai focused on theimportance of meditation practice through fulfilling precepts andpenitence.
    Second, the common thing between Hanam's Seon for Buddhistprayer topic and Amitabha by calling him & practical prayer is all notto reborn in Western Pure Land paradise world by simply callingAmitabha's name, but to consider Buddhist prayer as a subsidiary wayfor śamatha(止) and Vipaśyanā(觀) practice, not to chant just with hightone, but it puts a value on Seon of Buddhist prayer topic thinking whois the person chanting.
    Third, Hanam said that a Buddhist monk who was a teacher ofhuman and the sky should possess the knowledge to teach and leadsentient beings and study Tripitaka(三藏).
    And it showed that doctrine and Seon were not different from eachother through the special lecture about reading Sutras and the main textof Buddhist Schools during retreats.
    Such a point of simultaneous practice with Seon and doctrine wasshown in T‘ien-t’ai 's samadhi which was a practice of walking andsitting, half and half, among 4 samadhis. That is, this Seon practice with reading sutras and meditation togetheris a way of practice which is valuable to refer deeply for diversity ofmeditation.
    There has been a bias generally that there is no common thingbetween Hanam and T‘ien-t’aiBut it lets us know that the goals they were facing were not different,as the part that the Practice of Śila, Contemplation, and Wisdom Threesupreme principles, the simultaneous practice of Seon & Doctrine andChanting were not to reborn in Heaven simply calling the name ofAmitabha, but to consider it as a way of obtaining the tru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