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주종장 설봉천보 연구 (A Study on the 17th-Century Bell Craft Master SeolBongcheonb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4.06
36P 미리보기
17세기 주종장 설봉천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35호 / 129 ~ 164페이지
    · 저자명 : 김수현

    초록

    설봉천보는 1592년에 태어났다. 그는 27세였던 1618년에 범종의 제작을 위해 스스로 發願者 와 化主가 되었고, 이듬해 1619년 <봉선사 범종>(현재 경기도 가평 현등사 소장) 제작을 처음으로진행하였다. 그가 주종장으로 활동한 이유는 승려가 보살이 되기 위해서 필요했던 工巧明을 체득하기 위함이었다. 그는 40대 초반까지 약 15년간 경기도, 황해도, 함경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약하였다. 그는 사적기 형식의 주종기 찬술을 비롯하여 書刻과 鑄鍾 등 범종 제작의 전 과정을 직접총괄·감독하고 지휘하였다. 그는 三絶(詩·書·畵)에 모두 능했던 學識이 높은 學僧이자 뛰어난미적 감각을 지닌 예술가이며, 아울러 17세기에 활동한 수많은 불교미술장인 중에서도 출생 연도를 알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이다.
    그는 1469년 <봉선사 범종>, 1491년 <해인사 범종> 등 중국 종의 영향을 받은 15세기 왕실 후원 범종을 모본 삼아 조선전기의 전통을 계승하였고, 고려·조선시대의 사경표지화와 변상도 등경전화의 삽입된 도안도 함께 학습하여 자신만의 개성이 넘치는 범종을 완성하였다. 그가 제작한범종은 외형적으로 쌍용의 종뉴를 크고 사실적이며 역동적으로 조각하고, 균형미를 갖춘 종신에굵은 횡선을 이용하여 상단과 하단으로 구획한다. 특히, 귀꽃이 있는 연판문을 시작으로 상단에사다리꼴 형태의 연곽, 보살입상, 범자문, 원패 등의 문양을 빈틈없이 채우고, 하단에는 돌기가 있는 S자형 당초문, 연화당초문, 주종기, 운룡문 또는 파도문 등이 순서대로 이어지는 장엄 패턴은그가 제작한 범종에서 가장 눈에 띄는 양식적 특징이다. 현존하는 17세기 주종장 가운데 김용암과 김애립에게 그의 범종 양식 일부분이 반영되었기도 하였다.
    설봉천보는 17세기에 활동한 주종장이다. 그가 범종의 제작 과정에서 보여준 창의적이고 새로운 시도들은 자칫 전란으로 단절될 수 있었던 우리나라 범종 양식의 흐름을 이어주는데 결정적인역할을 하였다.

    영어초록

    SeolbongCheonbo, born in 1592, beca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creation of the Bongseonsa bell (now at Gapyeong Hyeondongsa Temple in Gyeonggi Province) in 1618 at the age of 27. The following year, he oversaw its production, marking the first of his works.
    His motivation for becoming a bell craft master stemmed from the knowledge of crafts required for a monk to achieve enlightenment as a bodhisattva. Active for roughly 15 years until his early 40s, SeolBongcheonbo left his mark on Gyeonggi, Hwanghae, and Hamgyong provinces. He personally supervised and directed the entire bell-making process, including calligraphy carving. A well-educated scholar skilled in the three arts (poetry, writing, and painting), SeolBongcheonbo possessed an outstanding aesthetic sense. Notably, he is the only Buddhist art master from the 17th century with a known birth year.
    His bells drew inspiration from 15th-century royal-sponsored bells influenced by Chinese models, such as the Bongseonsa bell (1469) and the Haeinsa bell (1491). He further incorporated design elements from scripture paintings, including sutra covers and repair drawings, from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to create his unique style. Visually, Seol- Bongcheonbo’s bells feature large, dynamic, and realistic dragons. He divided the well-proportioned bell body into upper and lower sections using bold horizontal lines. A defining stylistic feature is the majestic pattern that begins with a lotus flower gate, followed by a trapezoidal lotus gate, a bodhisattva figurine, a bumjumun gate, and a plaque at the top. The lower section progresses from an S-shaped arabesque gate with a protrusion to a Yeonhwa dangchomun gate, a juzongi, and finally an unryongmun (wave gate). His influence extended to other 17th-century bell craft masters, such as Kim Yong-am and Kim Ae-lip.
    Bell Craft Master SeolBongcheonbo’s who was active in the 17th century. SeolBongcheonbo’s innovations in bell making played a crucial role in bridging a potential gap in Korean bell-making traditions due to wartime disrup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