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國遺事』의 新羅 張保皐 認識 (The Perception of Jang Bo Go in Samgukyus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8.08
21P 미리보기
『三國遺事』의 新羅 張保皐 認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산학보 / 111호 / 147 ~ 167페이지
    · 저자명 : 정운용

    초록

    『三國遺事』에 언급된 張保皐는 「紀異」의 ‘神武大王·閻長·弓巴’에서 찾아진다. 해당 항목이 「기이」에 편재되어 있기 때문에 신무왕이 표제로 등장한 것이다. 아울러 禪師인 一然 자신이 儒家的 정치 이념에 대한 이해를 갖고 있었다고 보이기 때문에, 국왕의 명령을 수행한 염장을 두 번째로 기입한 것이라 여겨진다. 전반적인 서술 내용과 의미는 역시 장보고를 주 대상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장보고에 대하여 『삼국유사』는 여타 사서에서 보이지 않는 독특한 용어로 장보고를 표현하고 있다. ‘俠士’, ‘謀亂’, ‘明公’ 등이 바로 그것이다. ‘협사’의 경우는 기왕에도 대체로 ‘의협심이 있는 사람’이라는 이해가 주류를 이루어 왔다. 아울러 ‘협사’는 무예와 직접적인 연관을 갖는 용어가 아닐 뿐더러, 관직의 보유 여부를 판단하여 구사하는 용어도 아니다. 조선시대 문신에게도 ‘협사’라는 표현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협사’는 字典的 의미 그대로 ‘의협심이 있는 사람’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모란’의 경우는 직접적인 ‘반란’의 단계에까지 이르기 전, ‘모의’의 단계에 머문 수준을 지칭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장보고가 실질적으로 반란을 일으켰는가는 조선시대 성리학자들 사이에서도 많은 논란이 제기되어 왔다. 『삼국유사』는 ‘모란’ 앞에 ‘欲’자를 덧붙여, 장보고가 ‘모란’을 염두에 두었거나 의도한 수준임을 드러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장보고를 살해하고자 한 염장이 문성왕에게 장보고가 ‘장차[將]’ 반란을 일으킬 가능성을 지적한 것이라 보인다. ‘명공’의 경우는 단순하게 ‘그대’ 또는 ‘명철하신 공’, ‘총명하신 당신’, ‘현명한 그대’ 등으로 그릇된 번역을 하여 왔다. ‘명공’은 ‘명예로운 지위에 있는 사람에 대한 존칭’ 또는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의 존칭’이다, 『삼국유사』는 장보고에 대하여 그 어떤 자료에서도 보이지 않는 ‘명공’이라는 표현을 염장의 입을 빌려 드러내고 있다. 이는 장보고가 국왕으로부터 진골에 해당하는 예우를 받았기 때문에, 명예롭고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이라 기술한 것이다.

    영어초록

    Jang Bo Go(張保皐), described in Samgukyusa(三國遺事), is found in ‘Great King Shinmu(神武大王)·Yeom Jang(閻長)·Gung Pa(弓巴)’ in the Kiyi(紀異) chapter. As this subject remains in the Kiyi chapter, King Shinmu comes on the title. In addition, it seems that Yeom Jang, who performed king’s order, became the second subject as the Buddhist priest Ilyeon(一然) is considered that he had an understanding of the Confucianistic political philosophy. Still, Jang Bo Go is the main character on the whole descriptions and meanings. This goes with the distinctive expressions, ‘heypsa(俠士)’·‘moran(謀亂)’· ‘meyongkong(明公)’ etc., which never have been found in other history books, to portray Jang Bo Go in Samgukyusa.
    In the case of ‘heypsa(俠士)’, ‘a person with chivalrous spirit’ have been the mainstream in the understanding of the term. In other words, ‘heypsa’ is not a term related with martial arts directly, nor is it a term to judge the possession of government position. ‘heypsa’ is used to depict even the civil minister of the Joseon(朝鮮) Dynasty.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remain the term ‘heypsa’ as a dictionary meaning of ‘a person with chivalrous spirit’.
    For ‘moran(謀亂)’, it is decided to be at the stage between ‘conspiracy’ and ‘rebellion’. There have been many controversies among the scholar of the Sung Confucianism whether Jang Bo Go practically raised rebellion. Samgukyusa represents the term as the level at which Jang Bo Go hoped or imagined rebellion by adding the letters ‘desire’[欲] before ‘moran’. For this reason, it seems that Yeom Jang, who tried to kill Jang Bo Go, pointed out the possibility that Jang Bo Go might cause a rebellion ‘in the future’[將] to King Moonsung(文聖王).
    In terms of ‘meyongkong(明公)’, it has been mistranslated as meaning of ‘you’ in formal or ‘a man of sagacity’ or ‘a wise man’. In fact, ‘meyongkong’ means an ‘honorific title for a person in high or honorable position’. Samgukyusa is using the expression, ‘meyongkong’, through Yeom Jang’s speech which has not been mentioned in any of history books. In other words, Jang Bo Go was written down as a person who is in high and honorable position that he was treated with respect corresponding to the treatment for Jingol(眞骨).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산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