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효의 관점에서 본 대화적 교육 (Interactive Dialogu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y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9.12
29P 미리보기
효의 관점에서 본 대화적 교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효학회
    · 수록지 정보 : 효학연구 / 30호 / 45 ~ 73페이지
    · 저자명 : 최남운

    초록

    이 논문은 교육에서 공유되는 대화의 의미를 고찰하면서 특히 부모-자녀간의 대화의 특성을 효의 관점에서 서술한 것이다. 대화 자체가 가지는 교육적 함의를 살핀 뒤, 최초의 사회화 과정인 부모-자녀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를 효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교육현장에서 비교육적 요소를 제거해야 할 당위성이 요구되고, 공교육을 받기 전 혹은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대화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찾는다.
    이를 위해 대화가 인격형성의 기본이 된다고 보는 견해들을 검토하였고, 부모-자녀의 대화를 효의 차원에서 살피면서 그 특징을 ‘동반성숙’의 관점으로 파악하였다. 즉, 대화가 인격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련 연구와 이론을 검토하면서 최초의 대화가 부모-자녀관계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 초점을 맞춰 효학의 차원에서 대화와 인성교육을 연결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부모-자녀 관계의 독특성을 바탕으로 효의 관점으로 파악한 부모-자녀간의 대화는 교육적으로 참여의 의미를 갖는다. 효 시각에서 부모와 자녀가 함께 참여하는 대화는 자녀가 부모를 이해하고 부모가 자녀를 배려하는 동반성숙적 대화방식에 있음을 제시하였다.
    효의 관점에서 대화가 가지는 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자녀 사이에 일어나는 대화는 방법적으로 민주적 방식을 간과하지 않아야 하지만, 내용적으로 다루어야할 필수 요소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것은 인격의 핵심이 타인 배려의 정신이라고 볼 때, 대화 상대에 대한 ‘이해’를 전제하는 것과 관련된다. 둘째, 가정에서 민주적 대화를 익히고 경험해야 학교교육, 나아가 사회화 과정에서 성숙된 모습을 보일 개연성이 높다.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 민주적 대화 경험은 필수적이므로 자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도록 부모 교육 강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셋째, 부모와 자녀의 관계적 독특성에 따라 극복되어야 할 과제로 부모의 일방적이고 권위적인 대화 패턴이 지적되는데, 이 패턴 극복을 위해서는 성인자녀의 자각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부모교육의 주요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dialogue in education and examines the importance of dialogu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terms of filial piety. After discussing the general implications of dialogue and discuss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dialogue itself, I tried to examine the dialogues in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first socialization process, from the viewpoint of filial piety. I think this is meaningful because it requires justification to remove non-educational elements from education, which presupposes the need to consider how the dialogue at home affects education before public education.
    Looking at the dialogue from the viewpoint of filial piety, the tasks to be applied educationally are as follows. First, the dialogu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hould not overlook democratic methods in a way, but should present essential elements to be dealt with in content. Second, it is highly probable that a democratic dialogue should be learned and experienced at home to become mature at school or in education. Therefore,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parent education to experience democratic dialogue in the parenting process is an important point to be attemp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hird, the tasks to be overcom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uniqueness of parents and children are unilateral and authoritative communication patterns of parents, but the self-conscious efforts of adult children are required to overcome this patter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