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겨리의 관점에서 본 고구려의 우경 (Goguryeo’s plowing in agricultural production - examination of the “gyeori” practice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7.12
28P 미리보기
겨리의 관점에서 본 고구려의 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현실 / 106호 / 187 ~ 214페이지
    · 저자명 : 서민수

    초록

    한국고대사 연구에서 우경은 삼국시대 사회경제의 변동을 주도한 요인으로 손꼽힌다. 특히 우경의 보급은 읍락공동체의 해체와 소농경영의 성립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문헌사료가 부족한 탓에 실제 우경이 어떤 형태로 운영되고 사회경제를 변화시켰는지는 추정의 영역에 그칠 수밖에 없었다.
    우경의 성격을 규정하는 여러 개념 가운데 ‘겨리’의 속성이 주목된다. 겨리는 소 두 마리를 짝 지워 쟁기갈이하는 방식을 말한다. 고구려를 포함한 한반도 북부지역에서는 오랫동안 겨리로 밭갈이를 했다. 그럼에도 그간 우경을 다룰 때 겨리의 내용과 속성에 관한 연구는 미진했다. 이 글에서는 겨리를 다룬 민속학 분야의 연구성과를 경청함으로써 고구려의 우경이 초래한 사회경제적 변동의 내용이 무엇이었는지 검토했다. 그 결과 우경은 소농경영의 성립 및 자립화를 제고한 요인으로 파악될 수 없음을 밝혔다.

    영어초록

    In historical studies of the Korean ancient periods, the fash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that used cows (“Wu-gyeong”) is cit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that enabled socio-economic changes during the Three dynasties period. This cow-using fashion of agriculture is also considered what triggered (or at least to a certain extent connected with) the dismantling of “Eubrak” village communities and the formation of small-sized peasantry operations. Yet insufficient amount of records have always prevented us from finding out exactly in what fashion this Wu-gyeong practice would have been employed, and exactly what kind of socio-economic changes it actually brought about. There have only been speculations.
    Then, among many concepts that have usually been uttered in defining the nature of Wu-gyeong, there is the issue of ‘Gyeori,’ which refers to a practice using two cows as a pair in plowing the fields. In the Nor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realms that belonged to Goguryeo, this Gyeori practice seems to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But strangely enough, previous studies of Wu-gyeong never sufficiently mentioned or chose to examine this particular practice. Therefore in this article, several studies in the area of Folklore that has dealt with this Gyeori practice in particular are respectfully consulted, in an attempt to gain understanding of the range of changes that would have been caused by this Wu-gyeong practice of Goguryeo, which does not seem, at least according to an examination conducted here in this article, to have been a variable that actually enabled the formation of small- sized peasantry operations or elevated the level of their independent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현실”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