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족적 시각에서 보는 통일담론 (Discuss Reunification under the Perspective of Ethnolog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0.11
18P 미리보기
민족적 시각에서 보는 통일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50권 / 303 ~ 320페이지
    · 저자명 : 허명철

    초록

    일제의 패망과 함께 광복을 맞은 우리 민족은 냉전구도 속에서 남북분단이란 비운을 맞이해야 했다. 이때로부터 민족의 통일, 국토의 통합을 핵심으로 하는 통일담론은 반세기 넘도록 우리 민족의 중요한 화두로 되었으며 민족의식 저변에 깔려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되었다.
    하지만 분단의 벽을 넘어서려는 국가의지는 통일담론에 있어서 국익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으며 국가통합을 목표로 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정치적 제도적 요소와 이데올로기 등은 통일을 이룩하는데 또 하나의 걸림돌로 되고 있는바 국가이익과 민족소망이란 두 가치이념의 합일화는 통일의 전제 과제로 되고 있다.
    만일 우리가 통일을 “하나의 국가”를 수립하는 것이라는 형태론적 차원에서 벗어나 민족의 통합과 새로운 사회문화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라는 시각에서 접한다면 분단은 남과 북의 통합만이 아닌 해외 7백만 동포들도 포용한다는 민족대통합 · 민족대화합이 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사실 남과 북의 분단은 단지 국토의 분단, 민족의 분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해외 동포사회에 있어서 분단은 민족역사와 문화의 혼돈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해외 동포들도 분단의 아픔을 경험하게 되며 분단으로 인한 민족문화재정립에 고민하게 된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한다면 향후 우리의 통일담론은 단순 국토통합차원을 넘어서 해외동포들을 아우를 수 있는 민족대화합을 지향해야 하며 진정 우리민족을 상징할 수 있는 문화공동체를 구축해야 한다.

    영어초록

    After the Japanese imperialism had been defeated, our nation was divided into two parts on the forming time of the Cold War Structure. Hence the discuss reunification which is national and territorial reunification-centric, has become the talking point over half a century. Discuss reunification is the key factor of bury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to the base.
    National consciousness wants to exceed the division. Discuss reunification has to consider the national interest and national reunification for the target. Therefore, there are some obstacles to set up the reunification, such as political and institutional element and ideology. National interest and national aspirations are the valuable ideology of the prerequisite for the subject.
    Our reunification should free from the morphology which deems our reunification has to establish “One Nation” and consider the reunification as the process of national reunification and a new social culture. If so, the division has to become the national reunification that includes all of the seven million overseas Koreans instead of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Korea. Actually, divis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doesn’t mean the territorial and national division. For the overseas compatriot society, the division means the disorder of national history and culture. So overseas Koreans will experience the ache of the division and worry about there-establish national culture which is caused by division.
    Consider all of the reasons above, our discuss reunification should face the national fusion, that is to say, we should exceed the territorial reunification to build a cultural community which can truly symbolize our nation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일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