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쌈 구전설화 연구 (A Study on Orally-passed-down Folk Tales of Bossa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9.08
36P 미리보기
보쌈 구전설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69호 / 263 ~ 298페이지
    · 저자명 : 이영수

    초록

    본고는 구전 자료집에 수록된 44편의 보쌈 구전설화를 대상으로 그 전승 양상을 개괄하고, 이를 과부보쌈과 총각보쌈으로 나누어 설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보쌈 구전설화에 내재되어 있는 설화전승집단의 전승의식을 고찰하였다.
    과부보쌈 설화는 크게 보쌈 그 자체로 이야기가 완결되는 경우와 보쌈이 점․관상․풍수 등과 연계된 형태로 전승된다. 문헌자료와 비교했을 때 전자가 과부보쌈 설화의 원형에 더 가까운 것으로 사료된다. 여성은 남편을 사별하여 과부가 되는 순간 보쌈의 대상이 된다. 보쌈은 부와 권력을 소유한 인물에 의해 자행되며, 그 이유는 과부가 수절할 것으로 여기거나 재가 권유를 거절해서, 아니면 보쌈을 사주한 자의 사적인 인간의 욕망에서 비롯된다. 과부보쌈을 획책했던 사람은 결과적으로 과부 장가들려다가 자기 딸을 빼앗기는 결말을 맞는다. 과부 대신에 보쌈을 당한 빈자가 처녀(혹은 과부)와 혼인하고 부를 축적한다는 점에서 ‘혼인의 성취와 부의 축적’이 설화의 핵심적인 내용이라 하겠다. 정절 이데올로기는 부차적인 요소에 불과하다.
    총각보쌈은 과부보쌈과 마찬가지로 권력이나 재력을 겸비한 집안에 의해 이루어진다. 처녀는 상부살을 운명적 재액으로 받아들이되 이를 모의혼인을 통해 타고난 운명을 변역하고자 한다. 총각은 처녀가 준 금덩어리를 이용하여 죽을 고비를 넘기고 각자의 능력에 따라 다양한 삶을 살게 된다. 장원급제하여 자신을 살려준 처녀와 혼인하기도 하고, 또 다른 부를 축적하기 위해 총각보쌈을 자청하기도 하며 처녀가 준 금덩어리를 갖고 귀향하여 부자가 되기도 한다. 이것은 총각보쌈 설화의 경우, 정형화된 텍스트가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화자에 따라 다양한 결말에 이르는 게 아닌가 하는 추론을 해본다.
    설화전승집단의 전승의식을 몇 가지로 정리해 보았다. 설화전승집단은 보쌈을 과부가 세간의 이목을 의식하지 않은 채 재가할 수 있는 혼인 습속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이를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하지 못한다. 정절에 대해 이중적인 잣대를 적용한다. 그것은 보쌈이 주로 하층민 사이에 행해지던 혼인 습속이기 때문이다. 여성의 정조는 부인 간의 서열을 정하는 기준점이 된다. 초취를 통해 본처에 남다른 의미를 부여한다. 남성 중심의 왜곡된 성 인식이 자리하고 있다. 성에 대한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인정하지 않는다. 재혼상대를 선택함에 있어 과부와 홀아비 간에 차별이 존재한다. 이것은 남존여비의 사상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총각보쌈 설화를 통해 운명이란 타력에 의해서 얼마든지 변역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ummed up the transmission aspects of orally-passed-down folk tales using 44 pieces of them included in orally-passed-down folk tales of Bossam (Wrapping up widows or bachelors in a bag for marriage) and divided them into Widow Bossam and Bachelor Bossam to analyze the folk tales. And it examined the transmission mindset of folk tale transmitting groups contained in orally-passed-down folk tales of Bossam.
    Folk tales of Widow Bossam could be divided largely into those, story of which ended by Bossam itself, and those linked with fortune-telling, physiognomy and geomancy. When compared with bibliographic data, the former was considered closer to the original form of folk tales of Widow Bossam. As soon as a woman became a widow with her husband being dead, she could be a target of Bossam. If Bossam were committed by persons with wealth and power, the reason might be because the targeted widow was presumed to remain faithful to the dead husband or refuse to get remarried, or it could be committed from personal desires of those that instigated Bossam. Those that plotted Widow Bossam to get married with the widow could be deprived of their own daughters in the end. Given that the poor person who was the victim of Bossam instead of the widow got married with a single woman (or widow) and became rich, ‘Getting married and becoming rich’ could be the key content of folk tales. That is, chastity was no more than a secondary element.
    Like Widow Bossam, Bachelor Bossam was committed by powerful and wealthy families. A single woman, while embracing a bad fate of becoming a widow as is, sought to change the inevitable fate using a fake marriage. Bachelors escaped from the throes of death using a lump of gold given by the single woman and lived diverse lives depending on their own ability. Winning the first place in a state examination, they could get married with a single woman who saved their lives, or willingly became a Bachelor Bossam or returned home rich carrying a lump of gold given by the woman. This might mean folk tales of Bachelor Bossam had no standard texts, leading to a diverse range of conclusions depending on the narrators.
    And the article also summarized transmission mindset of folk tale transmitting groups under several points. The groups deemed Bossam as customs and practices of marriage whereby a widow could get remarried not mindful of the surrounding people’s views. And so they couldn’t recognize Bossam as one of serious societal problems. Double standard was applied to chastity, as Bossam was marriage customs mainly occurred among the lower-class people. Fidelity of women was the reference point deciding the ranking between the wives. Extraordinary significance was given to a legal wife by the first marriage. There lied distorted male-dominated sexual standpoint. Self-determination of women for sex was not permitted. In choosing a partner for remarriage, there was discrimination between a widow and a widower. This seems to come from the thought of predominance of men over wom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