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암 홍충언의 한시 연구 寓菴 洪彦忠의 漢詩 硏究 -不運의 ‘病顙駒’와 ‘和光同塵’의 現實對應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Hong Eon-chung’s poetr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0.01
39P 미리보기
우암 홍충언의 한시 연구 寓菴 洪彦忠의 漢詩 硏究 -不運의 ‘病顙駒’와 ‘和光同塵’의 現實對應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36호 / 147 ~ 185페이지
    · 저자명 : 권혁명

    초록

    본 논문은 홍언충의 自我認識과 現實對應姿勢를 밝혀 홍언충 문학의 본령을 파악하는 기틀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홍언충은 자신을 ‘病顙駒’로 인식하였다. 병상구는 이마에 병이 걸린 말로서, 태어날 때부터 신체적인 병과 千里를 내달릴 수 있는 駿馬의 능력을 동시에 갖춘 馬이다. 홍언충이 태어날 때부터 병이 있어 두 번씩이나 벼슬을 사퇴해야 했고 36세로 短命한 사실은 病顙駒에서 病에 초점이 놓인 것이며, 천부적인 文才가 있어 17세 때부터 文名을 드날리며 李荇, 朴誾, 鄭希良과 연산조 詩家四杰로 불려진 사실은 病顙駒에서 駒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다. 病과 文才라는 양면성은 홍언충에게 자신의 운명이 不運하다는 인식을 낳게 하였다. 병든 몸에 鈍才였다면 출사하지 않고 은거하는 삶을 살아갔을 터인데, 병든 몸에 뛰어난 文才를 주었기에 조용히도, 완벽한 존재로도 살아갈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홍언충에게 병든 몸도 불운이었지만 文才 또한 不運이었던 셈이다. 홍언충의 시에서 ‘鹿’과 ‘馬’의 의상을 통해 隱居와 出仕의 得失을 토로한 시들은 이러한 점을 시사하고 있다.
    홍언충은 연산조의 정치현실을 ‘附熱違寒’의 세계라고 인식하였다. 이 세계는 戊午士禍, 甲子士禍 이후 훈구관료들에 의해 독점되는 세계로서, 훈구관료들이 자신의 영리를 위해 따뜻하면 붙고 차면 버리는 염량세태의 현실이었다. 홍언충은 이러한 현실을 비판하면서도 갑자사화로 유배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출사하였는 바, 홍언충만의 독특한 현실대응자세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홍언충의 현실대응자세는 附熱違寒의 현실을 떠나 자신의 高潔함을 지키는 儒者 일반의 그것이 아니라, 附熱違寒의 현실과 함께 하는 ‘和光同塵’의 그것이었다. 이 和光同塵은 노자의 이상적인 인격 형태를 말하는 듯싶지만, 그 실상은 柳下惠의 ‘和而不流’가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즉, 홍언충은 附熱違寒의 세계에 어울려 살아가지만, 자신의 道를 곧게 하여 그 세계에 휩쓸리지 않고서 현실적 포부를 실현하고자 했던 것이다. 홍언충이 매화를 복사꽃과 짝지어 주자 불편해 하는 매화를 꾸짖고, 塵世에 피어있는 매화를 예찬한 시는 홍언충의 이러한 현실대응자세를 집약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이행이 홍언충에 대해 ‘道를 곧게 해서 兒輩들에게 굽히지 않아 고상한 이름이 후대 사람들과 함께 한다’라는 언급은 바로 홍언충의 和光同塵의 현실대응자세를 말함이 아니겠는가.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tried to research self-image and attitude of Hong Eon-chung from his poetry. This might be a lead to the core of his literature.
    Hong Eon-chung regarded himself as a ‘Byungsanggu(病顙駒)’ which is a horse born with disease on its forehead. It has ability to run swiftly while it’s handicapped. Hong Eon-chung was born with disease so that he had to resign a couple of times, and died young. This misfortune matches to the illness of horse, while his talent for writing matches to the ability of horse. For this reason, he thought himself as an unfortunate person. In his thinking, he might not to enter government service if he didn’t have talent. Therefore his talent for literature was also misfortune to him. He embodied the living in seclusion by using the image of ‘deer(鹿)’ and ‘horse(馬)’, and this implies his view of temporary world.
    He also thought the politic situation of King Yonsan period as an unfair world. During that period, a few of high ranking government official controled the political situation. Hong Eon-chung didn’t evade this and tried to criticize this social conditions by participating actively. He embodied his political view by using the image of flowers in his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