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병 치매의 생물학적 표지자로서뇌파와 사건유발전위의 임상적 의미 (Clinical Implications of EEG and ERP as Biological Markers for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3.11
10P 미리보기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병 치매의 생물학적 표지자로서뇌파와 사건유발전위의 임상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생물정신의학회
    · 수록지 정보 : 생물정신의학 / 20권 / 4호 / 119 ~ 128페이지
    · 저자명 : 김창규, 김현택, 이승환

    초록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은 65세 이상의 노인들에게 가장 흔한 신경퇴행성 질환이다.1)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24만 명이 치매를 앓고 있으며 그 중 과반수 이상이(약 60%)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치매이다.2)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중 치매환자는 약 8.5%(약 42만 명 추정)으로 20년마다 치매 환자수가 2배씩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전체 치매 중 알츠하이머병 치매가 71%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7년에는 치매 노인이 100만 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의 임상증상은 정신적 증상, 행동적 변화, 그리고 점진적인 인지적 저하와 일상생활 활동의 감소이다.3)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기억력을 비롯한 여러 인지기능들이 수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감퇴되며 이로 인한 일상생활능력의 저하를 수반한다. 알츠하이머병의 근본 원인은 아직 잘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 요인들이 관련된다.4) 최근에는 알츠하이머병의 임상 증상들이 명확히 발현되기 이전부터 진행되고 있는 뇌의 생물학적 변화를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이 병을 조기 진단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행해지고 있다.
    경도인지장애(minimal cognitive impairment, 이하 MCI)는 어느 정도 인지기능장애가 있으나 치매로 진단하기에는 충분치 않은 상태를 의미하는 진단명이다. 경도인지장애는 1990년대 중반 이후 널리 알려졌으며5) 인지기능의 연속선상에서볼 때, 정상 노화 과정으로 나타나는 기억력 손상을 넘어, 장차 치매로 진단될 만한 기억력의 감퇴를 보이는 단계를 지칭한다. 또한 경도인지장애는 기억력을 비롯한 여러 인지기능의감퇴를 보이지만 일상생활능력은 어느 정도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일컫는다. 최근 연구들에 의하면 경도인지장애환자들중 일부는 수년 내에 알츠하이머병으로 발전할 위험성이 높은것으로 알려져 있다.5)6) 65세 이상의 정상노인 중 1~2%는 알츠하이머병으로 발병하나 경도인지장애환자 중 알츠하이머병치매로 발병하는 환자는 연간 10~15% 정도이다. 그러나 경도인지장애 환자 중 일부는 점진적인 퇴행을 보이지 않고 치매로발병하지도 않으며 심지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인지기능의향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7)Pertersen 등7)의 분류에 따르면, 경도인지 장애에는 크게 기억력의 장애를 보이는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환자(amnestic MCI)와 기억력의 장애를 보이지 않지만 다른 인지 기능에는장애를 보이는 비 기억성 경도인지장애(non-amnestic MCI)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알츠하이머병 치매 초기에 나타나는 주요 임상 증상은 내측 측두엽 영역(medial temporal area)과 해마(hippocampus) 및 주변부의 손상에 따른 일화성 기억(episodic memory)의 감퇴이며, 따라서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알츠하이머병 치매로 진전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것으로 알려져 왔다.8)9) 또한 비 기억성 경도인지 장애 환자의경우 알츠하이머병 치매가 아닌 다른 원인으로 유발된 치매의이전 단계일 가능성도 있다는 연구 결과들도 존재한다.10) 따라서 여러 경도 인지장애 환자 중에서 알츠하이머병으로 발병하는 환자들을 조기에 추적할 수 있는 민감한 표지자(marker)를 찾아내는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11) 이번 고찰에서는 뇌파(electroencephalograpgy, 이하 EEG)를 이용한 치매연구를리뷰하고 뇌파가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병 치매의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안정 뇌파및 사건유발전위(event related potential, 이하 ERP)를 이용한 연구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Memory impairment is a very important mental health issue for elderly and adults.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s a prodromal stage of Alzheimer’s disease (AD). Early detection of the prodromal stage of patients with AD is an important topic of interest for both mental health clinicians and policy makers.
    Methods: Electroencephalograpgy (EEG) has been used as a possible biological marker for patients with MCI, and AD. In this review, we will summarize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EEG and ERP as a biological marker for AD and MCI.
    Results: EEG power density, functional coupling, spectral coherence, synchronization, and connectivity were analyzed and proved their clinical efficacy in patients with the prodromal stage of AD. Serial studies on late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were also conducted in MCI patients as well as healthy elders. Even though these EEG and ERP studies have some limitations for their design and method, their clinical implications are increasing rapidly.
    Conclusion: EEG and ERP can be used as biological markers of AD and MCI. Also they can be used as useful tools for early detection of AD and MCI patients. They are useful and sensitive research tools for AD and MCI patients. However, some problems remain to be solved until they can be practical measures in clinical set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물정신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