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보 제193호 봉수형유리병 금사의 특성과 제작기법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d manufacture Technique for the Gold wire of Phoenix-shaped Glass Ewer by National Treasure No. 193)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5.03
7P 미리보기
국보 제193호 봉수형유리병 금사의 특성과 제작기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보존과학회지 / 31권 / 1호 / 21 ~ 27페이지
    · 저자명 : 황현성, 윤은영

    초록

    국보 제193호 봉수형유리병은 5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진 황남대총 남분의 수많은 부장품들 사이에 독특한형태의 녹색 유리 편들로 심하게 파손된 채 출토되었다. 1984년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에서 본격적으로 보존처리를 실시하여 박물관에서 오랜 기간 동안 전시되어 왔지만, 30년이라는 세월로 인해 기존에 사용한 접착제는 심하게열화가 되어 매우 불안전한 상태가 되었으며 특히 복원제로 사용한 에폭시 수지가 빛과 열에 의해 심하게 황변이 되어더 이상 유물의 안정한 전시와 효과적인 전시가 이루어질 수 없어 이번에 재 보존처리를 하게 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그동안 연구가 전혀 진행되지 않았던 세 조각으로 파손된 봉수형유리병 손잡이 부분을 금사로 정성스럽게 감아 수리에사용한 3 조각의 금사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금사에 대한 분석방법으로는 SEM-EDS와 Stereo Microscope를 사용하여 비파괴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SEM-EDS 분석 결과, Au 91.9wt%-Au 92.8wt% 와 Ag 5.9wt.%-Ag 6.5wt.%으로Au 과 Ag의 합금인 금제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광학현미경으로 금사의 제작기법을 관찰한 결과, 일반적으로 금사는덩이 금을 두드려서 만들거나 구멍에 밀어 넣어 뽑아내는 인발 가공 또는 금판을 꼬아서 제작하는 방법으로 제작하는데봉수형유리병 손잡이에서 분리한 금사는 표면에서 꼬임 흔적은 전혀 나타나지 않고 단지 길이 방향으로 미세한 줄무늬가 관찰되고 단면이 모두 채워진 상태인 것으로 보아 인발 가공하여 만든 것을 사용하여 보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분석 결과는 그동안 금사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금제품 유물의 구성품으로만 인식된 채 별도의 유물로 주목받지 못해금사에 대한 제작기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매우 미흡한 편이기 때문으로 장차 금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이번 봉수형유리병 손잡이 고정에 사용된 금사 분석 결과가 기존 신라시대 금제 유물의 금사와의 상호 연관성을밝혀내는데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Phoenix-shaped Glass Ewer, which is No. 193 National Treasure, was seriously damaged by a unique form of green glass pieces when excavated among a number of burial accessories of Hwangnamdaechong known to have been formed in the 5th century. While it has long been exhibit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ince its treatment for conservation treatment at conservation science laboratory in 1984, the existing adhesive materials seriously deteriorated for the 30 years, and the condition was quite unstable. The epoxy resin used as a restorative materials turned yellowing due to the light and heat so much that it was no longer able to exhibit it in a stable and effective manner. As a result, a re-treatment for conservation was conducted lately. This study focuses on the three pieces of Gold wires used to carefully wrap up the handle of the Phoenix-shaped Glass Ewer broken into three pieces, which has not been studied so far. As for the analysis method for Gold wires, SEM-EDS and Stereo Microscope were used for nondestructive analysis. First of all, the result of the SEM-EDS analysis shows that the composition was Au 91.9 wt.%-Au 92.8 w.t% and Ag 5.9 wt.%-Ag 6.5 wt.%, which indicates that it was an alloy made of Au and Ag. The production technique of Gold wires was also observed by means of optical microscopes. In general, Gold wires were manufactured by a drawing process in which a lump of gold was beaten or pulled out of a hole or by a process of twisting a gold plate. However, Gold wires separated from the handle of the Phoenix-shaped Glass Ewer did not involve any trace of twisting on the surface. Rather, fine vertical stripes were observed with the sections filled up. Hence, it is thought that this Ewer went through a drawing process and then was mended. As a result, no certain relation with the golden mending material used for the Phoenix-shaped Glass Ewer was verified. The findings above indicate that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Gold wires recognized them, not as separate remains, but merely as a component of other golden remains. Thus, there has been little systematic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Gold wires. The future study on Gold wires may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old wires used to fix the handle of the Phoenix-shaped Glass Ewer, which is examined in this study, with that of golden remains in the Silla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존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