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당뇨병환자의 우울증과 자가 관리 (Depression and Self-care Behavior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09.10
7P 미리보기
당뇨병환자의 우울증과 자가 관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당뇨병학회
    · 수록지 정보 :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 33권 / 5호 / 432 ~ 438페이지
    · 저자명 : 김수연, 이재호, 김하늘, 김동규, 나영, 김길선, 김미경, 백기현, 강무일, 이광우, 송기호

    초록

    연구배경: 당뇨병환자들에서 우울증의 유병률이 높고 이
    는 환자들이 생활 개선 요법을 적절히 수행하는데 지장을
    주어 혈당 조절을 악화시키거나 합병증의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설문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당뇨병환자들의 우울증의 빈도 및 자가 관리 정도에 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7월에서 2008년 12월 사이에 제2형 당뇨
    병 치료를 위해 성모병원 외래를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Harvard Department of Psychiatry/National Depression
    Screening Day Scale (HANDS)와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SDSCA)를 이용하여 이들의 우울증
    여부와 식사 조절, 운동, 혈당 체크, 발 관리, 금연 등의 자
    가 관리 수행 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당뇨병의 유병 기간,
    만성 합병증, HbA1c,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지
    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위의 결과들을 토대로 당뇨병환자들의 우울증 빈도 및 우울
    증과 자가 관리, 우울증과 혈당 조절 정도와의 관계를 Two
    -tailed t tests, chi-squar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
    미만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총 191명의 환자들이 설문 조사를 완료 하였고 이
    중 39명(20.4%)의 환자가 주요 우울 장애에 이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울증이 있는 환자 39명 중 6명
    (15.3%)만이 이에 대해 전문가의 진단 또는 치료를 받은 기
    왕력이 있었다. 우울증이 없는 군과 있는 군 사이의 자가 관
    리 정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 적절한 식사 요법과(평균점수:
    18.54 vs 15.94, P = 0.046) 자가 혈당 측정은(평균점수:
    4.05 vs 2.69, P = 0.047) 우울증이 있는 환자군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그 수행 정도가 떨어졌다. 그러나 규칙적 운
    동, 매일의 발 관리, 금연 여부 등은 두 환자군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당화혈색소, 총 콜레스테롤이
    나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
    레스테롤 수치도 우울증이 있는 군과 없는 군 사이에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결론: 당뇨병이 있는 환자들은 건강한 성인에 비해서 우
    울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더 흔하며 이들 중 상당수가 적절
    히 진단되지 않고 있다. 우울증이 있는 당뇨병환자들은 식
    사 조절이나 혈당 체크와 같은 자가 관리의 수행 정도가 우
    울증이 없는 당뇨병환자에 비해 낮으며 따라서 당뇨병환자
    들의 우울증 동반 여부에 대해 적절히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Background: Depression is known to be a risk factor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Conversely, diabetes is also
    a risk factor for depression, and patients with diabetes have nearly twice the risk of comorbid depression as
    the general population. Depression in patients with diabetes may cause poor clinical outcomes through lower
    adherence to self-care activities such as exercise, diet control, and glucose monitoring. Furthermore, diabetic
    patients with depression are more likely to suffer from microvascular or macrovascular complications. We
    explored the preval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Korean diabetic patients and its impact on self-care
    activities and glucose control.
    Methods: We surveyed depressive symptoms and self-care activities in 191 type 2 diabetic patients from the
    outpatient clinic of the St. Mary's hospital. Two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ssessment, the Harvard
    Department of Psychiatry/National Depression Screening Day Scale (HANDS) and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SDSCA).
    Results: Of the 191 respondents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39 (20.4%) patients were categorized as
    having major depressive disorder. Among the depressed patients, only six (15.3%) had been previously
    evaluated and managed for their psychiatric problems. The incidence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diabetic patients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depression (74.4% vs. 45.4%, P < 0.001). Patients
    with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ly poorer diet control (18.5 vs. 15.9, P = 0.046) and less glucose
    monitoring (4.1 vs. 2.7, P = 0.047).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xercise, foot care, or smoking
    status between the two groups. Additionally, metabolic parameters such as HbA1C and lipid profil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Many diabetic patients are suffering from depression and exhibit poorer self-care activities than
    patients without depression. Identifying and managing depressed diabetic patients may help improve their
    self-care 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