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과정 개정시기별 국정교과서에 나타난 초등국악교육 (A Study on the Elementar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National Textbooks by Curriculum Period)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8.06
29P 미리보기
교육과정 개정시기별 국정교과서에 나타난 초등국악교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 / 45권 / 45호 / 63 ~ 91페이지
    · 저자명 : 이상규

    초록

    본 논문에서는 제1차 교육과정부터 제 7차 교육과정까지 해당 시기별 국정교과서에 나타난 국악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1950년대부터 2000년대 초기까지 초등국악교육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먼저 국악곡의 기보체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악곡에 사용되는 악보는 단소나 소금 등 기악 영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오선보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악보에는 국악곡 지도에 중요한 요소인 장단이나 출처도 제시되지 않고, 부적절한 박자표를 사용하는 등 아쉬움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은 제5차교육과정을 기점으로 차츰 개선되어 장단명과 장르, 시김새, 적절한 박자표 등 국악곡 지도에 필요한 적절한 정보가 제공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가창곡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악 관련 내용 중 가창 제재곡으로 제시된 곡은 모두 67곡인데, 가장 많이 소개된 가창곡은 ‘풍년가’, ‘아리랑’, ‘쾌지나칭칭나네’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창 제재곡은 제4차교육과정까지는 거의 보이지 않았는데, 제5차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국악가창제재곡 숫자는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제6차 교육과정부터는 그 증가율이 큰 폭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감상곡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악감상활동은 2차교육과정까지 전혀 이루어지지 않다가, 제3차 교육과정에서 민요를 소개하는 정도의 활동이 소개되고 있다. 이후 제4차교육과정에서 일부 기악 관련 악곡들이 감상곡으로 소개되었으며, 5차교육과정부터 기악곡과 함께 성악곡이 감상활동 악곡으로 제시되었다. 특히 제6차 교육과정에는 ‘수제천’, ‘산조’ 등의 새로운 기악곡이 추가되었고, 제7차교육과정에서는 창작국악동요, 제례악, 무용 등도 감상곡으로 제시되었다.
    네 번째, 국악기악 활동을 살펴보았다. 제1차 교육과정부터 제5차 교육과정까지 실제 악기를 지도하는 국악기 기악지도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후 제6차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기악 영역에 소고, 장구, 단소 등 일부 국악기가 포함되었으며,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같은 악기들의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한편 사진과 함께 제시된 국악기 소개는 매 교육과정마다 13종 안팎으로 나타나는데, 그 중 대금, 가야금, 피리, 장구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동 분석과정을 통해 적절한 악곡수와 난이도의 악곡 선정, 국악교육 관련 내용의 심의기구 필요, 참신함과 흥미를 제공할 수 있는 악곡 발굴, 국악 관련 인물의 발굴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요컨대 교과서의 내용을 통해 본 제1차 교육과정부터 제7차 교육과정까지의 초등국악교육은 초기 일부 국악기 소개 수준의 교육에서 제5차교육과정 이후 가창과 감상 영역으로 확대되었으며, 점차 기악교육으로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process of elementary music education by analyzing contents related to Korean music in the periodical textbooks from the 1st to the 7th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examined the notational system of Korean music. The score used in the Korean classical music mostly used pentos except for instrumental areas such as Danso and Sogeum. These musical scores were not presented as important elements in the teaching of Korean music and were not satisfactory. These problems were gradually improved from the 5th curriculum and it was analyzed that proper information needed for instruction of Korean music including name of jangdan, genre, shigimsae and beat sign.
    Second, I examined the singing songs. Among the content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67 songs were suggested as the most requested songs. The most popular songs were 'Pungnyeonga', 'Arirang', and 'Kwejinachingchingnane'. The song was not introduced until the fourth curriculum, but it began to appear from the fifth curriculum.
    Third, I looked at the appreciation. Activities for appreci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not carried out at all until the second curriculum, but the activities to introduce folk songs in the third curriculum are introduced. In the 4th curriculum, some musical pieces related to instrumental music were introduced as an appreciative piece. From the 5th curriculum, musical pieces such as Pansori and Changgeuk were presented as musical pieces. Particularly, in the 6th curriculum, new instrumental music such as 'Sujecheon' and 'Sanjo' were added. In the seventh curriculum, it was also noted that A new Korean traditional song for children, ritual music and dance were also presented as appreciation music.
    Fourth, I looked at the traditional music instrumental activities.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fifth curriculum, there was no instrumental instruction for traditional instruments. However, in the 6th curriculum and the 7th curriculum,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such as Sogo, Janggu, and Danso took place in earnes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13 kin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presented along with the photographs in each training course. Among them, Taegeum, Gayageum, Piri and Janggu were frequent.
    On the other hand, through this analysis process, it was proposed to select appropriate music number and difficulty level, to have a deliberative mechanism for the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o discover songs that can provide novelty and interest, and to find out the people related to Korean music In short, elementary music education from the 1st to the 7th curriculum through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was extended from the 5th curriculum after the 5th curriculum at the initial level of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 was able to see that it was expanding its r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악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