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신 분기별 모체의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임신결과 (Maternal plasma homocysteine livels and pregnancy outcomes)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04.08
8P 미리보기
임신 분기별 모체의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임신결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9권 / 4호 / 483 ~ 490페이지
    · 저자명 : 안홍석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S종합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관리를 받으며 대사성 질환 및 산과적 질환이 없는 82 명의 임신부를 선정하여 이들을 임신 단계별로 초기 임신부 26명, 중기 임신부 27명, 후기 임신부 29명으로 구분하여 일반사항과 혈액성상을 조사하고, 혈장 총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분석하여, 임신 기간에 따른 이들의 변화를 평가하고, 혈장 호모시스테인 수준이 임신결과와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 신장 및 임신 전 체중은 각각 29.2세, 161.7 cm 및 54.9 kg이었고, 임신 전 BMI는20.8 kg/m2 로 모두 정상 범위였다.
    임신부의 수축기와 확장기의 평균 혈압은 각각 120 mmHg 내외와 70 mmHg 정도로 정상이었으며, 헤모글로빈의 평균 농도는 각각 12.5 g/dL, 11.3 g/dL 및 11.4 g/dL 으로 임안홍석·489 신 초기 임신부에서 유의적으로(p < 0.001) 높았고, 헤마토그리트치 역시 초기 그룹이 36.36%로 중기, 후기 그룹의34.46%, 34.23% 보다 유의적으로(p < 0.01) 높았다.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0.72~19.46 μmol/L의 범위로 초기 신부 그룹이 평균 5.77 μmol/L, 중기 및 후기 그룹이 각각 5.64 μmol/L와 7.00 μmol/L이었으며, 그룹 간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평균 재태기간은 39.2주로 바람직한 임신기간이 유지되었으며, 임신 중 체중 증가량은 13.4 kg으로 임신 전 BMI 가 정상인 임신부의 적정 체중 증가량 범위에 속하였다. 입덧을 경험한 임신부는 67명(81.7%)이고, 17명(20.7%) 의 대상자는 임신부 빈혈판정 기준치보다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리트치가 낮은 수준이었다. 신생아 출생시 평군 체중은 3350.7 g이었다. 출생 후 1분과 5분에 측정한 Apgar 지수가 각각 8.5와 9.5로 신생아는 전반적으로 모두 양호하였다.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재태기관과의 상관성에서 임신 초기 임신부에서 측정한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재태기간이 38주 미만일 때 9.4 μmol/L와 38주 이상일 때4.5 μmol/L로 유의적인(p < 0.01) 차이가 있었고, 임신중, 후반기 임신부에서는 재태기간에 따른 혈장 호모시스테인농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임신 초기 모체의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상승은 재태기간이 단축되어 조산의 위험인자일수 있다고 사료된다. 임신 초기와 후기 임신부에서 측정된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체중 증가량과는 일관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중기 임신부에서 유의적인(p < 0.05) 차이가 있었다.
    즉, 임신중반기 모체의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상승된경우 임신기간중 체중증가는 다소 적었다.
    신생아 체중, 입덧 및 빈혈여부, 1분 Apgar지수에 따른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신생아 체중이적고, 입덧을 경험했으며, 빈혈이 있었고, 1분 Apgar 지수가 낮을수록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다소 높은 경향을나타내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우리나라 정상 임신부의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준은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준이 재태기간 및 임신 중 체중 증가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바람직한 임신 결과를 얻기위해서는 적정 수준의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임신 초, 중반기에 측정한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재태기간과 모체의 체중증가량을 예측하는 여러가지 인자 중 하나로써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영어초록

    Elevated maternal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s have been associated with adverse pregnancy outcomes, including birth defects, low birth weight, preeclampsia, spontaneous abortion, placental abruption, and other maternal or fetal com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es the maternal plasma homocysteine level during pre-Venous blood samples were drawn from 82 pregnant women who were grouped with gestational age, 1st trimester (n = 26), 2nd trimester (n = 27) and 3rd trimester (n = 29). The concentration of plasma homocysteine was analyzed by HPLC, and pregnancy outcomes including gestational length, maternal weight gain, infant birth weight, and Apgar score were collected with the medical records of the pregnant women. The levels of plasma homocysteine of the pregnant women at the 1st, 2nd, and 3rd trimester were 5.7 ± 3.7 μmol/L, 5.6 ± 4.1 μmol/L and 7.0 ± 4.5 μmol/L, respectively, which had not showed any significant difer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case of the pregnant women at the 1st trimester, the maternal plasma homocysteine level of the pregnant women whose gestational length was les than 38 weeks was significantly high (p < 0.01) compared to that of the pregnants whose gestational length was more than 38 weks. And also, the level of homocysteine of the pregnant women at the 2nd trimester was (p < 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aternal plasma homocysteine level at early stage of gestation will be a predicter of gestational length and maternal weight gain. (Korean J Comunity Nutrition 9(4) : 483 ~ 490, 2004)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