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호미씻이의 지역별 전승양상과 다양성 (Regional Transmission Styles and Diversity of Homissis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5.05
26P 미리보기
호미씻이의 지역별 전승양상과 다양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속학 / 61권 / 115 ~ 140페이지
    · 저자명 : 김재호

    초록

    호미씻이는 이앙법(移秧法)이라고 하는 수도재배방식에 의해 형성된 조선후기 전통사회의 대표적인 농경세시이다. 호미씻이는 농업의 근대화과정에서 제초제의 사용과 보급으로 사라지기 시작하였으며, 그 이전에는 두레나 품앗이를 통한 마을공동노동으로 논의 김매기를 마친 후 행한 농민들의 연중 가장 큰 축제의 하나였다. 구체적인 양상은 지역별로 매우 다양하였는데, 이 연구는 대표적인 수도재배지역인 영호남지역의 전승양상을 유형별로 검토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개략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남지역의 경우 ‘꼼비기’권과 ‘풋굿’권으로 크게 구분된다. 전자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구미선산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후자는 그 외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특히 경북 북부지역에서 강한 전승력을 보인다. 그리고 전자는 오늘날 전승이 중단되었으며, 후자는 공동논매기를 제외한 주요한 여름철 마을행사로 이어지고 있다. 꼼비기의 경우 일꾼들에 대한 대지주의 시혜적 성격이 강하고, 풋굿은 동성촌락의 경우 시혜적 성격이 강한 경우가 있긴 하지만 대체적으로는 대동적 성격이 비교적 강하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호남지역의 경우, 분명치는 않으나 ‘술멕이’권과 ‘만드리’권의 구분이 확인된다. 대체적으로 전북 북부지역에서부터 충청남도 금강 이남까지는 술멕이가, 전북 일부 지역을 포함한 전남지역에는 만드리가 강한 전승력을 가졌다. 이 중 술멕이는 영남지역의 풋굿과 흡사한데, 마을단위별 공동체 행사로서의 성격이 강하다는 점과 더불어 행사 전에 마을길 닦기와 우물 청소 등을 하는 것, 그리고 오늘날까지의 전승력이 강하다는 점 등이 그러하다.
    이렇듯 꼼비기와 풋굿, 그리고 술멕이과 만드리는 영호남지역을 대표하는 수도재배 관련 농경세시로서 공통점이 있긴 하지만 지리적으로 분포와 전승양상에 차이를 드러내어 문화권역을 나눌 수 있는 주요한 기준이 된다. 하지만 호미씻이의 이러한 지역적 차이의 원인에 대해서는 밝히지 못하였으며 향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영어초록

    Homissisi(Hoe Wash Rite) is a representative seasonal agricultural rite of traditional society in late Chosun originated through wet-field rice farming, which is called rice transplantation. Homissisi started to disappear with the use and popularization of herbicide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agriculture modernization. Before then it was one of the biggest annual events of farmers performed after the wet-field weeding is completed through community labor input in the mode of Dure or Pumatsi. As specific styles of How Wash were regionally differentiated, this study categorically examined the transmission styles of Southern region of Korea(Yeong-Honam region) which is a representative area of wet-field farming in Korea.
    Firstly, Yeongnam region is roughly categorized into the area of ‘Ggombigi’ and ‘Putgut’. The former exists in Gumi-Seonsan area centered around Nakdong river; the latter in other area, especially transmitted remarkably in northern Gyeongbuk. The former, ‘Ggombigi’, is not performed any more; the latter, ‘Putgut’, is still performed as a major summer community event, as the wet-field weeding omitted. ‘Ggombigi’ is performed in the means of benefit given by landowners, whereas ‘Putgut’ clearly has the characteristic of unity though employed in the lineage villages in the means of benefit.
    Secondly, Honam region is rather unclearly categorized into the area of ‘Sulmegi’ and ‘Manduri’. ‘Sulmegi’ has been transmitted in the area of from the northern Cheonbuk to the south of Geum river in Chungnam; ‘Manduri’ remarkably in Cheonnam area in addition to a part of Cheonbuk. ‘Sulmegi’ has common characteristics with ‘Putgut’ of Yeongnam region in terms of its characteristic of community event, cleaning community roads and wells prior to the event, and its possession of transmissional power to modern times.
    As such, ‘Ggombigi’, ‘Putgut’, ‘Sulmegi’ and ‘Manduri’ are the seasonal agricultural rites which commonly represent the Yeong-Honam region in terms of wet-field farming. They function one of the major criteria of cultural mapping by their regionally differentiated distribution and transmissional styles. The reason of such regional differences in terms of Homissisi, however, has not been identified, as left for future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