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한제국기 군복의 병과별 색상 연구 (A Study on the Colors of Military Uniforms by Occupational Specialty in the Korean Empir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3.05
21P 미리보기
대한제국기 군복의 병과별 색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수록지 정보 : 한국복식 / 49호 / 87 ~ 107페이지
    · 저자명 : Nomura Michiyo, 이지수, 이경미

    초록

    본 연구는 대한제국기 군복의 병과별 색상과 색상이 군복에 들어가는 양식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그 결과물을 일러스트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대한제국기 육군복장의 규칙과 제식을 검토하였고 남아있는유물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군복의 병과별 색상인 정색(定色)은 1895년에 처음으로 규정되어 바지 옆선 부분에 들어갔다. 이때 보병 적색, 회계관 청색, 의관 녹색이었다. 1897년 규정에서는 보병홍색, 기병 녹색, 포병 황색, 공병 자색, 군사 청색, 군의 옥색으로 규정되었으며 예복은 모자 정상부 이화장, 하반부, 바지 옆선, 상의 깃과 소맷부리에 병과별 정색이 사용되었다. 평상복은 모자 정상부 이화장, 하반부, 바지 옆선에 병과별 정색이 들어갔다. 1900년 규정에서는 상의의 형태가 바뀌어 예복은 모자 정상부 이화장과 하반부, 바지 옆선, 깃과 소맷부리, 뒤트임 좌우, 뒤트임 가장자리, 앞여밈 부분 가장자리에 정색이 들어갔다. 평상복은 모자 정상부 이화장과 하반부, 바지 옆선, 상의의 깃 상·하단, 앞여밈 부분 가장자리에 병과별정색이 들어갔다. 1903년 규정에서는 공병의 모자 상반부에 황색을 사용하게 되었다가 1904년 규정에서 모든 병과가 보병과 모자 제식을 따르게 되었다. 군의의 정색은 1905년에 옥색에서 유록색으로, 1907년에 심녹색으로 바뀌었다. 의복의 색상으로 병과가 구별될 경우도 있어서 1900년에 헌병은 모자 정수리와 상반부, 상의 색상이 다색으로, 정색은 백색으로 규정되었다. 1901년에는 군악대 모자 정수리와 상반부, 바지가 홍색으로, 정색이 흑색으로 규정되었다. 1902년에는 기병의 모자 정수리와 상반부, 상의가 홍색으로 규정되었다.
    1907년 규정으로 평상복 모자, 바지, 상의 형태와 색상이 바뀌어 상의 소매 부분 한 줄에만 정색이 들어가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군복 착장 일러스트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대한제국기 군복을칼라로 시각화하였기 때문에 육군복 제작에 도움이 되고, 문화컨텐츠로 활용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lors designated to the uniforms of each military occupational specialty(MOS) during the Korean Empire, to understand where the colors were applied and propose illustrations of the results. For this purpose, we have reviewed the rules and regulations of the army uniforms during the Korean Empire, and analyzed the remaining artifacts.
    The color designation by MOS was first stipulated in 1895, and was applied in the ornamental braid on the trouser outseams. The designated colors were red for infantry, blue for fiscal officers and green for medical officers.
    The revised regulations of 1897, infantry was designated red, cavalry green, artillery yellow, military engineers purple, officers blue, and medical officers jade green. This was applied in the mess uniform, in the yihwa-jang (plum blossom pattern) on the cover of the cap, the bottom of the cap, braids on the trouser outseams, and the jacket collar and sleeve chevrons. In the service uniforms, this was applied in the yihwa-jang of the cap, the bottom of the cap, and braids on the trouser outseams. The design of the jacket has changed in the revised regulations of 1900, so the colors were applied in the yihwa-jang of the cap, the bottom of the cap, braids on the trouser outseams, the sleeve chevrons and the collar, the left and right side and edge of the back slit, and the edge of the front closure.
    On service uniforms, designated colors were applied in the yihwa-jang of the cap, the bottom of the cap, braids on the trouser outseams, the upper and lower part of the jacket collar and edge of the front closure. The regulations of 1903 designated yellow for the upper part of the cap for the military engineer. This was revised in 1904 when all specialty units followed the cap regulations for the infantry. The medical officer’s colors were changed from jade green to yu-rok color in 1905, and then shim-rok color in 1907. In some cases, the color of the uniform was used to distinguish the unit of the wearer: In 1900, the military police were designated white, but used multi-colors on their uniform, on the crown and the upper part of the cap, and jacket.
    Based on the results above, illustrations of the military uniform were produced to provide a visualization of the colors of the military of the Korean Empire, which can be used as cultural cont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복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