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시 도시 재생 유형별 공간 분포와 지역 특성 변화: 건물 용도별 도시 경관 변화를 중심으로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he Change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Types in Seoul: Focus on the Urban Landscape Change by Building Use)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9.08
15P 미리보기
서울시 도시 재생 유형별 공간 분포와 지역 특성 변화: 건물 용도별 도시 경관 변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지리학회지 / 8권 / 2호 / 305 ~ 319페이지
    · 저자명 : 이건학

    초록

    최근 도시 재생은 낙후된 주거 및 근린 환경 개선에 국한하지 않고 새로운 상권이나 문화 공간 형성을 통한 비주거 기반의 다양한 지역 재활성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재생에 따른 지역 경제, 사회적 활성화와 같은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높아진 주거비, 임대료 등으로 원주민이 다른 지역으로 내몰리고 지역이 재쇠퇴하는 악순환이 거듭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다양한 유형의 도시 재생 및 젠트리피케이션의 분포 특성과 지역적 특성 변화를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도시 재생에 따른 사회적 문제를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개선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건축물 용도별 도시 경관 변화를 중심으로 도시 재생의 형태를 유형화하고 해당 지역의 공간 분포 특성과 지역적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서울의 주거, 상업, 문화적 재생과 관련한 건물 용도별 변화가 큰 지역들을 시기별로 확인할 수 있었고, 각 재생 유형별 지역적 특성 변화가 상이한 세부 군집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도시 재생 및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공간적 이해를 넓히고, 도시 계획 및 지역 경제 정책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 재생에 따른 지역 특성 변화 양상을 체계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기존에 알려져 있지 않은 도시 재생 지역에 대한 미시적 연구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Recently urban regeneration has focused on various non-residential urban revitalization by the construction of new commercialized areas or cultural space beyond the improvement of old deprived residential neighborhood environments. Although there are some positive aspects from urban regeneration including regional economic and social renewal, a vicious circle repeats that original residents are forced out and regional economy becomes decayed again due to the re-increased living expense and cost of rent. At this moment, it is very important to look into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he change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f regeneration and gentrified urban areas for systematically diagnosing and improving social problems led by urban renewal.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characterize various urban generation types based on the urban landscape change according to the building use in Seoul. And then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emporal change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for regenerated areas. As a result of analysis, we successfully identified significant areas of Seoul by time period showing the substantial change of the building use related to residential, commercial, and cultural regeneration, and derived more detailed clusters with specific change of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each regeneration type. This research would help us extend spatial understanding of various urban regeneration and gentrification and could be utilized for urban planning and regional economic policy. Moreover it is expected to give a clue for micro-scale research for unknown areas of urban regeneration by providing the temporal change of regional characteristics systematic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지리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