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01년 유학자의 위기의식과 기독교 비판-간재 전우의 「自西徂東辨」을 중심으로- (The Sense of Crisis Felt by Confucian Scholars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and Criticism of Christian Doctrin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0.08
33P 미리보기
1901년 유학자의 위기의식과 기독교 비판-간재 전우의 「自西徂東辨」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실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실학 / 72호 / 359 ~ 391페이지
    · 저자명 : 김건우

    초록

    본고는 독일선교사 에른스트 파버의 『자서조동』에 대해 논변한 간재 전우의 「自西徂東辨」을 분석한 것이다. 중국에서 선교활동을 한 파버는 당시 사회 모순에 가득 찬 중국이 기독교를 통해 근본적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때문에 중국인을 설득하기 위해 중국 고전들을 인용하여 『자서조동』을 한문으로 저술하였다. 간재 전우는 61세 때인 1901년에 「자서조동변」을 지어 파버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하였다. 「자서조동변」 서술의 직접적 동기는 송병화의 요청이었지만, 당시 전우는 이미 급속도로 확산된 기독교 교세에 대한 위기의식을 지니고 있었다. 파버는 기독교 선교사의 입장에서 유학 사상을 인용하면서 자신의 논리적 근거로 삼았는데, 그는 고대 중국의 上帝觀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면서 초월적 절대자의 존재를 믿게 하려고 하였다. 또한 太極이 실제적으로 주재자로서의 역할이 없음을 비판하기도 하였다. 파버는 기독교 교리대로 영혼과 천당지옥설을 개진하고 조상제사를 거부하는 주장을 펼쳤다.
    전우는 「자서조동변」에서 기독교의 창조론, 上帝와 靈魂에 대한 인식, 조상제사에 대한 유교적 대응논리를 펼쳤다. 그는 어떤 대가나 보상을 바라지 않고 인간으로서의 도리를 다하고 그 도리를 실천해야 할 존재, 즉 유교적 인간상을 주장하였다. 또한 기독교가 전파되지 않아 애당초 몰랐던 타국인과 예수가 태어나기 이전 中華의 聖人 밖에 몰랐던 사람들의 구원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전우는 지극히 현세 지향적인 유학자의 입장에서 기독교의 구원관을 비판하였다. 유교와 기독교는 근원부터 다름에도 불구하고 표리관계로 설정하려는 파버의 주장은 그 자체가 견강부회라고 비판했다. 기독교 교리와 표현이 엇비슷하지만, 의미가 전혀 다른 유교 경전을 취하여 논리를 전개한 파버의 주장을 조목조목 비판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On Civilization, China and Christian(「自西徂東辨」) by Ganjae(艮齋) Jeonwu(田愚), which was a discussion of Civilization, China and Christian written by Ernst Faber who was a German missionary. Faber engaged in missionary work in China and thought that Chinese society should be radically changed through Christianity because China was suffering from social contradictions. Hence he wrote Civilization, China and Christian in Chinese characters, referring to many classical writings of China so that he could persuade Chinese people. Jeonwu(田愚) wrote On Civilization, China and Christian in 1901 when he was 61 to refute Faber’s arguments one by one. The direct motive for writing the book was the request from Song Byeong-Hwa(宋炳華), and implicit in the book was Jeonwu(田愚)’s sense of crisis about the rapidly expanding congregation of Christianity at that time. Faber understood Confucian philosophy from the perspective of a Christian missionary which was the rationale behind his argument. While giving importance to the view of the Jade Emperor of ancient China, he was convinced of the existence of the absolute being. He also criticized that the Great Ultimate (the yin-yang: 太極) had no role to play as the actual governor of the universe. Faber argued for the existence of soul and the theory of heaven and hell, and refused ancestor worship.
    In On Civilization, China and Christian, Jeonwu refuted from a Confucian standpoint the creationism of Christianity, Faber’s view of the Jade Emperor and soul, and ancestor worship. What he argued for was the Confucian image of man as a being who should do his duty as a human being without expecting as reward or compensation for such practice. He maintained that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are fundamentally different, and it is pure sophistry to claim as Faber did that they are two sides of one thing. In other words, Jeonwu criticized Faber who selectively took what was similar to Christian doctrines from Confucian scriptures. He also raised the question concerning salvation of people outside of Christian civilization who did not know about Christian teaching from the first, and of the Chinese people who knew only of the saints of China before the birth of Christ. Jeonwu’s critique of the Christian doctrine of salvation was from the standpoint of a secular Confucian schol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실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