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지리산권 유학사상(1) -남원・함양의 安處順, 盧禛, 邊士貞을 중심으로- (Confucianism in the Jirisan region during the 16th century(1) - concentrating on the activities of Ahn Cheo-Soon and Byeon Sa-Jeong of Namwon and Noh Jin of Hamyang -)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2.12
39P 미리보기
16세기 지리산권 유학사상(1) -남원・함양의 安處順, 盧禛, 邊士貞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42호 / 175 ~ 213페이지
    · 저자명 : 김봉곤

    초록

    본고는 16세기 지리산권 유학사상에 관해 남원의 安處順과 邊士貞, 함양의 盧禛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그간의 연구가 지리산권의 일부인 山淸의 曺植에 편중되어 왔기 때문에 남원과 함양 쪽의 유학자를 중심으로 지리산권 유학사상의 공백을 메꾸고자 한 것이다.
    지리산권에는 16세기에 성리학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지역 간 상호교류도 활발하였다. 특히 함양의 노진은 장인인 남원의 안처순으로부터 경제적, 학문적 기반을 물려 받았다. 그리고 남원의 변사정은 노진의 門人이었기 때문에, 이들은 三代에 걸쳐 혼인과 학연을 매개로 강한 결속력을 갖추고 있었다.
    안처순은 중종 때 기묘사림들과 함께 중앙에서 경연을 통해 국왕이나 세자의 덕성 함양에 노력하였으며, 외척이나 훈구파의 전횡이나 사림의 정치적 진출, 언로확장, 백성들의 조세경감 등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향촌사회에서는 향교를 세우고 『近思錄』을 간행하여 성리학을 널리 보급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는 명나라에서 간행되었던 『四書大典』의 내용을 선별하여 『思齊篇』을 편찬하여 향촌사회에서의 구체적인 생활규범을 제시하였다. 이에 그의 학문은 성리학의 이론적 기반 위에 부모나 스승, 임금에 대한 도리, 유교적 규범에 따른 향당에서의 철저한 실천의 원칙을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안처순의 학풍은 노진에게도 이어져 노진 역시 효행과 鄕黨의 교화를 중시하였고, 정치적으로는 국왕에 대한 直諫이나 中道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는 호남의 김인후의 영향으로 氣보다는 理를 중시하고, 李恒과의 학문 교류를 통해 노수신의 人心道心體用說을 반대하였다. 그는 군자와 소인의 엄격한 분별을 주장하여 사림정권이 들어서게 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당쟁이 심해지자 군자에게도 知와 仁이 지나치면 잘못이 생긴다고 하여 엄격한 의리에 기반을 둔 中道의 정치철학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노진은 백성들의 습속을 이유로 균전제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에 있었기 때문에, 급진적인 개혁을 선호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변사정은 노진과 이항의 영향을 받아 성리학에서 도통을 중시하였으며, 理氣가 구분되면서도 혼연히 一物을 이루고 있다고 보고, 실생활에서 요순의 기상을 터득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에 그는 羅欽順의 인심도심체용설은 禪學으로, 불교는 허무맹랑한 異端으로 배척하였으며, 운봉의 桃灘에서 유교적 가르침에 따라 생활하려고 하였다. 변사정 역시 향촌교화를 중시하였지만, 경제적인 정책으로는 여전히 부세정책 개선에 머물러 있었다. 그리고 당쟁이 격화되자 西人을 표방하고, 李珥나 成渾을 伸救하고자 하였다. 그의 학풍이 이기일원론적 성격이 강한 이이의 철학과 연결될 수 있는 측면이 있었고, 그의 동문이나 친인척들이 이미 서인을 표방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안처순과 노진, 변사정 등으로 이어지는 지리산권 유학사상은 기묘사림의 『小學』을 중시하는 전통을 잇고, 『대학』, 『중용』 『근사록』등의 이론적 바탕위에 실천을 모색한 결과 성리학이 깊이 토착화되는 배경이 되었다. 이에 지리산권에는 부모에 대한 극진한 효와 국왕에 대한 의리를 중시하는 기풍이 강하게 일어났다. 점차 삼년상을 비롯한 유교적 예속이 널리 보급되어 갔으며, 왜란이 일어나자 적극적으로 의병을 일으켰다. 또한 이들의 행적과 사상은 이들이 타계한 이후 건립된 서원을 중심으로 지리산권에서 계속 계승되어 갔다.
    다만, 군자와 소인을 구분하는 학설은 당쟁의 심화에 따라 동인과 서인으로 극명하게 갈라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지리산권 유학자들은 변사정 대에 이르러서 동인과 서인, 동인은 다시 남인과 북인으로 분열되어갔다. 그리고 인조반정 이후에는 鄭仁弘이 사사되면서 지리산권에서는 북인이 퇴조하고 점차 서인들이 득세하게 되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takes a close look at Confucianism in the Jirisan region during the 16th century concentrating on the activities of Ahn Cheo-Soon and Byeon Sa-Jeong of Namwon and Noh Jin of Hamyang. Extensive studies have been done on Jo Shik of Sancheong, and therefore by focusing on Confucianism in Namwon and Hamyang we would step closer to providing a complete picture of Confucianism in the Jirisan region.
    During the 16th century Neo-Confucianism flourished in the Jirisan region and mutual exchange of opinions between regions were particularly active. Notably Noh Jin of Hamyang would inherit academic and economic footing from Ahn Cheo- Soon of Namwon, his father-in-law. Meanwhile, Byeon Sa-Jeong of Namwon, a disciple to Noh Jin, who also studied under his tutelage, would show strong solidarity through three generations based on marriage and school ties.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Ahn Cheo-Soon would deliver lectures in Court alongside Gimyosarim faction. He would assert Sarim's sortie into politics while insisting upon Deokhwa(moral reform), Junghwa(juste-milieu), and Jeolgeom(frugality), based on 『Daehak(The Great Learning)』, 『Jungyong(The Doctrine of the Mean)』, and 『Geunsarok』, as the essential attributes of a king as well as reduction of taxation for king's subjects. Ahn, also, took part in disseminating books on Neo-Confucianism such as 『Geunsarok』all around the country districts and even compiled 『Sajepyeon』which is a collection of writings selected from 『Saseodaejeon』 of the Ming Dynasty. His academic achievements were based on the theories of Neo-Confucianism, and he went on to organize social norms for parents, teachers, kings, and village communities which thoroughly revolved around a sense of honor.
    Academic traditions of Ahn Cheo-Soon would carry over to Noh Jin who strived to bring about teachings of 『Sohak』into practice such as filial obedience and edification of village communities. In the political sphere, he put his efforts into bringing about Jikgan(remonstrance), and Jungdo(juste-milieu) when presented at Court. Deeply influenced by Kim In-Hu of Honam region, Noh would lay stress on "li(理)" rather than "qi(氣)" while scholarly exchanges with Lee Hang would lead him to oppose Noh Su-Shin's InShimDoShimCheYongSeol doctrine. His insistence upon strict discernment between man of virtue and a man of small character contributed to Sarim faction taking over the regime. When the party strife intensified, he would introduce political philosophy of Jungdo(juste-milieu) based on strict sense of honor insisting that even a man of virtue are not immune to making errors when knowledge and benevolence become excessive. However, his stance on Gyunjeonje(land reform) was rather cynical citing the folkways of the people which leads us to believe that he was not in favor of radical reform.
    Moreover, Byeon Sa-Jeong, who was influenced by both Noh Jin and Lee Hang, believed that li and qi constitute a harmonious whole inside the taegeuk(the Great Ultimate). Thus, he strived to apply Yosoon times' vigor to everyday life. Byeon would dismiss Luo Ch'inshun's InShimDoShimCheYongSeol as zen philosophy and Buddhism as nothing more than absurd heathenism. He would live out his life, in Dotan of Wunbong,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Confucianism. When the party strife raged on, he tried to petition for Yi Yi and Seong Hon. From that fact we may assume his scholarly tendencies as leaning closer to Yi Yi's philosophy which bears a strong YiGiIlWonRon quality. Furthermore, his alumni and close relatives supported the Seoin side.
    Confucianism of the Jirisan region saw the succession of Ahn Cheo-Soon, Noh Jin, and Byeon Sa-Jeong who carried on the tradition of valuing 『Sohak』, highly regarded by the Gimyosarim faction. Their way of trying to put in practice theoretical studies such as 『Daehak(The Great Learning)』, 『Jungyong(The Doctrine of the Mean)』, and 『Geunsarok』 proved to be more than effective in establishing Neo-Confucian tradition in the Jirisan region. Consequently, these influences led to this region carrying traits such as filial obedience with the utmost devotion and sense of loyalty toward their king. Gradually, customs, such as observing three-year mourning began to spread throughout the region. Their influence, also, prompted resistance forces to form voluntarily when the Japanese invaded the country. However, their insistence upon discerning between man of virtue and a man of small character led to a sharp split between Dongin and Seoin factions when the party strife reached an extreme. Confucian scholars in the Jirisan region would split into Dongin and Seoin factions during Byeon Sa-Jeong's lifetime and later Dongin would again split into Namin and Bukin factions. Furthermore, after Jeong In-Hong's execution, in the wake of enthronement of King Injo, Jirisan region would see the decline of Bukin while Seoin would gain more and more influence over the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