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義利’와 ‘興利’의 사이 ―오규 소라이의 義利之辨 비판― (The Distinction between ‘Justice and Benefit(義利)’ and ‘Flourishing Benefit(興利)’ : Ogyu Sorai’s criticism over the distinction between ‘Justice and Benefit’)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3.12
43P 미리보기
‘義利’와 ‘興利’의 사이 ―오규 소라이의 義利之辨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77권 / 77호 / 161 ~ 203페이지
    · 저자명 : 박상휘

    초록

    본고의 목적은 에도 시대의 지식인들이 ‘利’라는 글자를 어떠한 의미로 사용했는지를 검토하여 일본에서 주자학적 義利之辨이 어떻게 비판되었으며, 利를 민생에 활용해야 한다는 가치관이 어떻게 발달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利’를 ‘利欲의 利’로 보느냐 ‘利物의 利’로 보느냐에 따라 ‘利’에 대한 평가는 양분된다. 주자학에서 ‘利’는 ‘利欲의 利’로 해석되어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에도 시대 초기의 지식인들은 ‘利’를 양가적인 것으로 보았고, 이것은 주자학적 義利觀을 비판적으로 보는 계기가 되었다. 에도 시대 중기에 오규 소라이가 주자학적 義利觀을 철저히 비판하였는데, 이는 ‘利’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을 크게 전환시켰다. 그는 ‘義’도 ‘利’도 사회적 직무에 힘쓰는 데에서 생겨난다고 보았으며, 利를 베푸는 일에 종사하는 자를 ‘君子’로, 利를 받는 일에 종사하는 자를 ‘小人’으로 규정하여 ‘君子’와 ‘小人’이 각각 ‘安民’과 ‘營生’에 힘씀으로써 사회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고 생각하였다. 더 나아가 오규 소라이는 『孟子』의 義利之辨은 학파 간의 언쟁이 심했던 百家爭鳴의 상황에서 개진된 담론이며, 후세 사람들이 이 담론을 그대로 본뜨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영향을 받은 일본 지식인들은 聖人을 利를 물리친 도덕적 인격자가 아니라 백성에게 利를 베푸는 통치자라고 인식하였으며, 정책 차원에서 ‘興利’를 실행하는 것은 옛 聖人의 뜻과도 일치한다고 주장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a word, ‘benefit (利)’, used by intellectuals in the Edo period to reveal 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justice (義) and benefit (利) was criticized in Japan and how the value of using benefit (利) for people’s livelihoods developed.
    The evaluations of ‘benefit (利)’ are divided depending on whether you view 利 as ‘利 of liyog (利欲)’ or ‘利 of limul (利物)’. In Neo-Confucianism, ‘利’ was interpreted as ‘利 of liyog (利欲)’, so it was used in a negative sense. However, intellectuals in the early Edo period viewed ‘利’ ambiva- lently, which served as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 Neo-Confucian view of justice and benefit critically. In the middle of the Edo period, Ogyu Sorai criticized the Neo-Confucian view of justice and benefit thoroughly, which significantly changed the Japanese perception of ‘利.’ He thought that both ‘justice (義)’ and ‘benefit (利)’ came from striving on social duties and defined those engaged in giving benefit (利) as ‘the superior man (君子)’ and those engaged in receiving benefit (利) as ‘the mean man (小人)’. He believed that both the superior and mean should endeavor for ‘pacifying the people (安民)’ and ‘making livelihoods (營生)’ so as to keep the society stable. Furthermore, Ogyu Sorai argued that 『Mencius (孟子)』’s view of justice and benefit was a discourse presented in the context of Baekgajaengmyeong (百家爭鳴) in which there was a lot of dispute between schools, and it did not make sense for posterity to imitate this discourse as it is. Japanese intellectuals influenced by him recognized that the saint as a ruler who gave benefit (利) to the people, not a moral person who rejected benefit (利), and argued that to carry out ‘flourishing benefit (興利)’ at the policy level conformed to the will of the old sai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