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書體에 나타난 書藝美學 연구 ― 漢字의 書體演變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esthetics of Calligraphy in the Calligraphic style - Focusing on the extending change of Calligraphic style in the Chinese character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09.10
32P 미리보기
書體에 나타난 書藝美學 연구 ― 漢字의 書體演變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49호 / 463 ~ 494페이지
    · 저자명 : 이승연

    초록

    서예는 문자를 소재로 표현되어지는 동양예술의 정수로, 특히 한자서예는 시대적인 변천에 따라 다양한 서체로 연변되면서 그 형태와 풍격이 다르게 표현되어 졌다. 초기 先史시대의 도기상의 기호로 표시된 ‘문자성을 지닌 부호’에서 시작되어 篆書⋅隸書⋅草書⋅楷書⋅行書로 다양하게 변천하여, 唐代이후로는 서예가들의 개인적인 풍격이 표현되는 서풍을 이루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書體의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전국시대의 隸變을 기점으로 나누어 먼저 三代(夏⋅殷⋅周)의 서체가 甲骨文, 金文, 籒文으로 연변되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종교적인 의식과 大篆이 小篆으로의 연변되어 가는 과정에 나타나는 法家思想의 영향을 먼저 살펴보고, 고문자체계에서 금문자체계로 바뀌는 예변이후의 다양한 서체 연변과정과 완성된 시점의 사상적 배경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에 예서로의 연변과정과 審美意識, 초서로의 연변과정과 禪宗思想, 해서로의 연변과정과 尙法精神, 행서로의 연변과정과 玄學思想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와 같이 여러 유물을 통한 서체 연변과정의 고찰은 서체가 한 개인에 의해 발명된 것이 아니라 긴 세월 동안 실용적인 필요와 심미적인 요구에 의해 점진적으로 발전해 온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서체의 연변이 단순한 형식의 변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각 시대의 문학⋅사학⋅철학과 깊은 관련이 있고, 儒⋅佛⋅道 등의 여러사상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다변하는 정보화시대의 서체는 어떻게 변모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제시와 함께 현 서단에서 일어나고 있는 전통서예와 응용서예와의 갈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서예미학에 관한 관심도 증폭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Calligraphy is the essence of the Oriental art which is expressed in the subject of characters. Especially, the calligraphy of Chinese characters was expressed into the different forms and styles extending and changing to the various styles of calligraphy.
    In the early prehistory, the Chinese characters were only signs on the pottery with the nature of characters. But as the time went by, the signs changed into Jeonseo(篆書), Yeseo(隸書), Choseo(草書), Haeseo(楷書), Haengseo(行書).Calligraphers made the various styles of calligraphy with their own styles from the Tang age.
    In this thesis, starting from the Age of the Warring states which showed up the big change in the calligraphic styles, I'd like to consider the religious consciousness which was appeared in the course that the calligraphic styles for three periods(夏, 殷.周) had changed to Gapgolmun(甲骨文), Keummun(金文), and Joomun(籒文) at first. And I tried to contemplate the influence of Beopgasasang(法家思想) (scholars insisted that respecting the law and inflicting the heavy punishment was the basic principle for governing a country) which was showed in the course of changing Daejeon(大篆) to Sojeon(小篆).
    And also, I tried to research the variously changing process of calligraphic styles and the background of thought in the completed point since the system of old characters changed to the system of Keummunja. I'd like to divide the content into 4 parts, changing process to Yeseo and aesthetic consciousness, changing process to Choseo and the thought of Zen, changing process to Haeseo and the spirit of respecting laws, and changing process to Haengseo and the thought for profound learning.
    We can learn that the research into the changing process of calligraphic styles through many remains was not created by one person, but also was gradually developed for long time by the needs of the pragmatism and aestheticism. We can learn the changing process of calligraphic style was not only change of forms but also closely related to the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of each time. In addition, we can say it was related to the confucianism, the Buddhism and Taoism.
    Today, we live in the varying information-oriented society. Calligraphic style is varying, as well. Through this research, I hope many people will understand the present conflicts between traditional calligraphy and applied calligraphy with the presentation of direction for the future calligraphy.
    Futhermore, I expect them to have great concern about the calligraphy aesthe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