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화경주해산보』와 『장자변해』의 상관관계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Namhwagyeong Juhaesanbo (『南華經註解刪補』)and The Critiques on the Thought of Zhuangzi (『莊子辨解』))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4.11
30P 미리보기
『남화경주해산보』와 『장자변해』의 상관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68권 / 47 ~ 76페이지
    · 저자명 : 김학목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그들의 근본 학문과 『장자』 저술에서 이처럼 상반된 특성을 연결해서 그 상관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그래서 먼저 박세당과 한원진 두 사람의 저술과 연구에서 성리학 비판과 수호에 대한 것을 살피고, 이어 그것들이 그들의 『남화경주해산보』와 『장자변해』에서 어떻게 마음 비움이나 성리학 수호와 연결되는지 살피면서 또 동시에 본 논문의 목적 곧 두 저술의 상관관계를 정리하겠다.
    세종이 『장자』를 문신들에게 나눠준 이후 명종과 선조 연간에는 『句解南華眞經』 등의 언문현토본이 출간될 정도로 인기리에 유행했다. 이런 흐름 속에서 박세당은 『南華經註解刪補』라는 주석을, 한원진은 『莊子辨解』라는 비판서를 낸다. 이들은 정치적 색깔과 학문적 특성도 상반된다. 박세당은 당쟁과 같은 혼란의 원인이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사유방식에 있다고 보고 『장자』의 마음 비움을 통해 그 수양론을 비판하며 수정·보완하려고 한다. 한원진은 그 혼란의 원인을 이이에서 송시열과 권상하 등을 통해 자신에게로 이어지는 정통 성리학을 제대로 고수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고 『장자변해』를 내어 『장자』를 비판함은 물론 『남화경주해산보』까지 은근히 함께 싸잡아 비판했다.
    부기하자면 『장자변해』가 『남화경주해산보』보다 35년 정도 뒤의 저술이라 전자에는 후자의 비판이 있어도 후자에는 전자의 비판이 없을 것 같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박세당의 성리학 비판은 『장자변해』의 성리학적 사유에도 여전히 그대로 계속 이어지며 적용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ims to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Namhwagyeong Juhaesanbo (『南華經註解刪補』) and The Critiques on the Thought of Zhuangzi (『莊子辨解』) First of all, I will examine the criticism and protection of Neo-Confucianism in the writings and researches by Park Se-dang and Han Won-jin, and then how they are connected to the protection of mind emptiness and Neo- Confucianism in their NamhwagyeongJoohaesanbo and The Critiques on the Thought of Zhuangzi.
    After King Sejong handed out Zhuangzi to his civil servants it became so popular that books with eonmunhyeonto(言文懸吐) like Guhaenamhwajingyeong (『句解南華眞經』) were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and King Sunjo.
    In this trend, Park Se-dang published the annotation NamhwagyeongJuhaesanbo, and Han Won-jin published a critical book titled The Critiques on the Thought of Zhuangzi, which contradict each other not only in political color but also in academic characteristics. Park Se-dang saw that the cause of confusion such as party strife lies in the metaphysical way of thinking of Neo-Confucianism, trying to revise and supplement it by criticizing the theory of discipline through the mind-emptiness of Zhuangzi; Han Won-jin criticized NamhwagyeongJoohaesanbo, while trying to prevent Zhuangzi from becoming popular any more by publishing The Critiques on the Thought of Zhuangzi, considering that the cause of the confusion was the failure to adhere to the orthodox Neo-Confucianism that led to him through Song Si-yeol and Kwon Sang-ha from Yi yi.
    In addition, since The Critiques on the Thought of Zhuangzi was written about 35 years later than NamhwagyeongJoohaesanbo, it seems that there is no criticism from the former even if there is criticism from the latter, but that’s not true. This is because Park Se-dang's criticism of Neo-Confucianism still continues and is applied the Neo-Confucianism thought of The Critiques on the Thought of Zhuangz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