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春亭 卞季良의 敎化詩 一考察 (A study on Enlightening poetry of Choonjeong Byeongyerya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6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6.12
61P 미리보기
春亭 卞季良의 敎化詩 一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인문학 / 37호 / 35 ~ 95페이지
    · 저자명 : 조영린

    초록

    이 논문은 조선 초기의 대표적 유학자인 春亭 卞季良의 漢詩를 교화적인 내용으로 살펴본 글이다. 이 논문에서 춘정 변계량의 敎化詩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가 주로 활동했던 시기가 성리학적 유교주의를 표방하는 麗末鮮初의 교체기로서 그의 문학이 이러한 過渡期的 문학의 특성을 고스란히 담고 있으며 鮮初의 문학사적 전환을 예고하는 대표적인 사례이기 때문이다.
    조선 초기 臣・民의 복속과 일체감을 유도하기 위해 관각의 대표적 문신들이 수행했던 기본적인 작업은 민본주의에 입각한 애민정책으로 농민들의 생활안정을 위한 重農政策과 성리학을 기본이념으로 하여 敎化를 강조하는 敎化儒敎의 정책이었다.
    춘정은 이러한 교화정책을 실천하여 그의 문집에 많은 교화시를 저작하였는데 그의 시 가운데 교화시를 군주의 각성과 규계를 위한 교화시, 사대부의 태도와 임무에 대한 교화시, 애민의식 고취에 대한 교화시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춘정의 이와 같은 교화시를 통한 계몽의식은 고려에서 조선으로 교체되는 격동의 시기에 민심을 수습하고 사회전반의 안정을 꾀함으로써 태평성대의 기반을 다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춘정의 敎化詩는 性理學을 수용하여 기존세계의 변혁과 성리학적 인격으로 새로운 인격적 정립을 기도하고자한 王朝交替期 지식인들의 啓蒙的인 문학과 그 의미가 통한다고 할 수 있다. 려말선초의 변혁기 문학은 도학적 사유를 기반으로 한 유교지향적인 특성을 지니는 시기로 그의 시 세게는 이러한 시대적 배경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라고 사료된다.
    더구나 이 시기는 사림파 학자들이 成宗代 이후에 중앙 관계에 진출하고 學脈으로서의 면모를 다지기 이전의 시기로서 사림파 학자들의 선구로서 후대에 전개될 사림파 철학을 배태하는 의미로서 부각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was edifyingly researched about the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Choonjeong(春亭) Byeongyeryang(卞季良) in the early years of the Chosun Dynasty. The reason why the Choonjeong Byeongyeryang’s edification poetry received attention is that his literatures have the literature’s characteristic in a transition period(過渡期的) as the transition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麗末鮮初) claiming the confucian confucianism and the typical example to herald the literary’s switch of early chosun dynasty(鮮初).
    The office’s representative civil service’s basic primary tasks to induce the sense of unity and the obedience of retainers and people(臣・民) in the early chosun dynasty was the policy of cherishing agriculture(重農政策) for living’s stability of farmers with the policy of loving people on a democratic basis and the policy of edification of Confucianism(敎化儒敎) emphasizing edification(敎化) based on the basic ideology of Neo- confucianism.
    Choonjeong wrote a lot of poetries of edification in the collection of his work by practicing this policy of edification. It was partitively searched such as the edification poetry for the awakening of sovereign, the edification poetry for Scholar-gentry class’s the attitude and duty and the edification poetry for inspiring the sense of loving people and so on in his poetries. It can be said that the sense of enlightenment through Choonjeong’s edification poetry such of type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iping times of peace as handling public unrest at the tumultuous period to replace from the koryo dynasty to the chosun dynasty and making an attempt at social general stability.
    Eventually, the edification poetry(敎化詩) of Choonjeong could make sense with the enlightening literature(啓蒙的) of intellectuals at the change of the dynasty (王朝交替期) to pray for new personal rights with the existing world’s revolution and the confucian personal rights by embracing Neo-confucianism( 性理學). His poem world is considered to come from these historical backgrounds as the literature in the age of innovation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 has Confucainism oriented characterize.
    Moreover, as earlier times to harden countenance with academic line(學脈) and the Sarim party’s scholars entered central national institution after the reign of Seongjong(成宗代), it can come to emerge as the meaning to conceive the Sarim party’s philosophy to development to future generations as the first of the Sarim party’s schola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