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화논변’을 통해 본 ‘심통성정’ 이해 (The Theory of Xin-tong-xing-qing(心統性情) through The Debate on Zhong-he(中和論辨))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9.02
33P 미리보기
‘중화논변’을 통해 본 ‘심통성정’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49권 / 29 ~ 61페이지
    · 저자명 : 김상현

    초록

    심통성정’은 주희 심성론의 핵심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심’, ‘성’, ‘정’의 관계와 그 관계를 근거로 수양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명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주희 심성론과 수양론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 명제에 대한 치밀한 이해가 동반되어야 한다. 그런데 ‘심통성정’이란 명제를 분석하는 작업은 그렇게 만만하지 않다. ‘심통성정’에 대한 해석은 당시 학자들 사이에서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며, 오늘날의 연구자들 역시 매우 다양하게 그 명제를 해석하고 있다. 해석의 다양성으로 인해 ‘심통성정’이란 명제는 다양한 언어를 통해 상이하게 규정되고 있으며, 이것은 결국 ‘심통성정’에 대한 이해를 어렵게 만들어 급기야 주희 심성론에 대한 이해까지 힘들게 만든다.
    이러한 사정을 접하면서 논자의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무엇 때문에 ‘심통성정’이라는 명제에 대한 해석이 이렇게 다양할까? 그 이유는 무엇일까? 다양한 관점의 해석을 효과적으로 연결시켜줄 준거가 되는 해석을 도출하는 것은 불가능할까? 만약 가능하다면 준거가 되는 해석은 어떤 방식으로 도출해낼 수 있을까? 주희의 ‘심통성정’론에 대한 선행연구는 비교적 많이 있지만, 이들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심통성정’에 관해 주희가 진술한 글들을 이리저리 뽑아내어 그것을 근거로 자신들의 주장을 정당화하고 있을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 연구는 ‘심통성정’을 둘러싼 해석의 폭을 넓히는 데에는 도움을 줄 수는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심통성정’이 주희가 ‘중화구설’의 오류를 자각하고 심성론을 새롭게 구축하는 과정에서 장재로부터 수용한 명제라는 사실에 대해 주의 깊게 다루지 않고 있다. 논자는 ‘심통성정’이란 명제를 온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주희 사유의 변화 과정을 추적하면서 그가 어떤 맥락과 의도에서 그 명제를 사용했는지 분석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준거가 되는 해석을 도출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해석들의 의미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그 과정을 추적해 봄으로써 ‘심통성정’이란 명제의 표준적 해석을 마련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Theory of "Xin-tong-xing-qing"(心統性情) is the key to Chu-Hsi(朱熹)'s "Shim-sung theory"(心性論) along with theory of "Human Nature is Principle"(性卽理).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Chu-Hsi's "Shim-sung theory", one must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two propositions. Since the theory of "Human Nature is Principle" is relatively simple, there seems to have been littl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issue. However, the situation is very different in the case of the theory of "Xin-tong-xing-qing" borrowed from Zhang-Zai(張載). In the case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subject, there are many differences among scholars at the time, and there are many interpretations among scholars today. The variety of interpretations makes it difficult for us to unify the meaning of the theory of "Xin-tong-xing-qing" and this in turn makes it difficult to understand Chu-Hsi's "Shim-sung theory". Watching this situation, I had the following problem. What makes the interpretation of the proposition the theory of "Xin-tong-xing-qing"? Is it impossible to derive a consistent interpretation? If possible, what criteria can you base it on? Therefore, I wante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title, the theory of "Xin-tong-xing-qing" in the full context of Chu-Hsi's "Shim-sung theory". The theory of "Xin-tong-xing-qing" is a proposition established by developing a final theory during the "Debate on Zhong-he"(中和論辨).
    To achieve this goal, I will first analyze the findings of modern researchers and examine what are some of the interpretations surrounding the theory of "Xin-tong-xing-qing" process. Next, we will analyze the causes of such diverse opinion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theory of "Xin-tong-xing-qing". Lastly, I want to confirm Chu-Hsi's intention to argue for the theory of "Xin-tong-xing-qing" by analyzing the "Debate on Zhong-he" based on the fact that Chu-Hsi accepted it when he was 40 years o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