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河濱 愼後聃의 『주역』해석-『周易象辭新編』의 효변을 중심으로- (Habin Sin Hu-Dam’s Interpretation of Zhouyi - Centering on Hyopyeon(爻變) of Zhouyisangsasinpyeon(周易象辭新編))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8.09
24P 미리보기
河濱 愼後聃의 『주역』해석-『周易象辭新編』의 효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73호 / 57 ~ 80페이지
    · 저자명 : 김병애

    초록

    河濱 愼後聃(1702-1761)의 『周易象辭新編』을 중심으로 그의 『周易』해석에 대하여 연구한 논문이다. 신후담 『주역』 해석의 특징은 爻變을 적용하여, 象을 근간으로 爻의 유기적 관계를 밝혔다는 점이다.
    爻變을 표현한 일정한 형식이 ‘是爲A之B也’이다. 예를 들면 “是爲乾之大有也”는 乾卦䷀의 九五가 변하여 大有卦䷍가 된다는 말이니, 乾卦 九五는 本卦인 乾卦와 之卦인 大有卦를 참조하여 해석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와 같은 방식을 384효의 매 효에 公式을 代入하듯 적용하여 爻辭를 풀었으며, 괘효사에 互體 및 比와 應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필자는 『周易象辭新編』에 드러나는 신후담 『주역』 해석의 연원을 『春秋左氏傳』의 筮法이라고 추정하였다. 신후담은 『주역』 해석에 있어서 기존의 큰 조류인 程頤와 朱熹의 역학해석에 의존하지 않고, 오히려 이들을 綜合하고 統攝하였다. 『주역』의 보편적인 道理를 논하기 위해 『程傳』을 수용하였고, 『주역』을 貫通하고 있는 원리를 논하기 위해 『本義』를 수용하면서도, 체계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卦爻辭를 해석하였다. 따라서 程頤와 朱熹의 역학해석에서 진일보하여 독창적인 해석체계를 이루었다고 말할 수 있다.
    신후담의 『주역상사신편』은 우리의 易學史에 있어서, 丁若鏞의 『周易四箋』 이전에 이미 爻變이 정착되어 『周易』 象數學의 탄탄한 해석이 존재했음을 입증하는 저술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way of Habin Sin Hu-Dam(1702-1761)’s interpretation of Zhouyi, centering on 『Zhouyisangsasinpyeon』. The characteristics of Sin Hu-Dam’s method of interpreting Zhouyi is that he explained the organic relationship of hyo(爻) based on the sang(象) by applying Hyopyeon(爻變).
    A certain form expressing yaobain is ‘SiwiAJiBYa(是爲A之B也)’. For example, it is a cross stroke where geongwae becomes daeyugwae after change. Because ‘SiwiGeonjiDaeyuya(是爲乾之大有也)’ means that ‘Geongwae(乾卦䷀) Nine in the fifth place’ is changed and becomes Daeyugwae(大有卦䷍), we have to interpret ‘Geongwae Nine in the fifth place’ by referring to Geongwae as the original gwae and Daeyugwae as the resulting gwae. He applied such methods by using a formula in each of the 384 Hyo(爻) and explained Hyosa(爻辭). And he creatively used Hoche(互體), Bi(比) and Eung(應) in Gwaehyosa(卦爻辭).
    The writer estimated that the origin of Sin Hu-Dam’s interpretation of Zhouyi that was revealed in the 『Zhouyisangsasinpyeon(周易象辭新編)』was the Shìfǎ (筮法) of 『Chunchujwassijeon(春秋左氏傳)』. In interpreting Zhouyi, instead of relying on the existing tendency of interpretation of Zhouyi of ChéngYí(程頤) and ZhūXī(朱熹) , Sin Hu-Dam consolidated and combined them.
    To discuss the universal nature of the 『Zhouyi』, he accepted the 『Jeongjeon(程傳)』 and to discuss the principle that penetrates the 『Zhouyi』, he accepted the 『Bonui(本義)』. And at the same time, he interpreted Gwaehyosa(卦爻辭) by applying systematic method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interpretation system of Chéng Yí and Zhū Xī has been advanced to the original interpretation system.
    Sin Hu-Dam’s 『Zhouyisangsasinpyeon(周易象辭新編)』 can be evaluated as a writing, which proves that there was a solid interpretation of 『Zhouyi』 Sangsuhak(象數學) with the existence of already settled yaobain before Cheong Yagyong(丁若鏞)'s 『ZhouYisajeon (周易四箋)』 in our history of Zhouyi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