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육구연의 ‘변지(辨志)’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u Jiuyuan(陸九淵)'s Concept of 'Bianzhi(辨志)')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09.08
26P 미리보기
육구연의 ‘변지(辨志)’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 / 100호 / 1 ~ 26페이지
    · 저자명 : 이동욱

    초록

    육구연이 강학(講學)을 하면서 가장 강조한 것은 변지(辨志)였다. 변지(辨志)란 ‘자신의 마음에서 일어나는 의지를 분별해보는 수양의 방법’이다. 이 용어의 직접적인 기원은 『예기』이고, 의미의 연원은 맹자의 의리(義利)에 대한 관점이다. 변지가 육구연의 철학을 설명하는 데 결정적인 개념인 이유는, 바로 이 개념을 통해서 육구연의 중요한 문제의식인 ‘맹자의 계승’과 ‘정주성리학에 대한 비판’이라는 이론적 맥락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변지는 맹자의 ‘사(思)’, ‘자기(自棄)’ 등의 개념과 연관되며, 육구연은 이러한 연관성에 근거해서 정주성리학이 맹자의 이론으로부터 이탈했다고 비판한다. 기존에는 일반적으로 심즉리(心卽理)라는 용어를 육왕학(陸王學) 혹은 심학(心學)의 대표적인 명제로 파악하고, 이를 통해서 육구연의 철학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심즉리라는 용어는 육구연보다는 도리어 정주성리학 계열의 학자들에 의해 더 빈번히 사용되었고, 또 몇 가지로 해석이 가능한 송대(宋代)의 심즉리는 육구연 자신의 철학적 지향을 잘 드러내지 못한다. 이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언급되기는 했지만 핵심 개념어로 조명 받지는 못했던, 변지(辨志)를 육구연 철학을 이해하기 위한 중심 개념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dissertation is focused on Lu Jiuyuan(陸九淵)'s concept of 'Bianzhi(辨志)'. 'Bianzhi' is a way of self-cultivation discerning one's will. The concept of 'Bianzhi' has two origins. The origin of this term is Liji(禮記). And it's idea is also continuous with Mencius(孟子). This concept is important to Lu Jiuyuan's philosophy because Lu Jiuyuan, who based on it, insisted his succession to Mencius's way from which Chu Hsi broke away. 'Bianzhi' is possibly connected with Mencius's 'concentrating on mind(思)', 'self-rejection(自棄)'.
    Till now the proposition of Xinjili(心卽理) ha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concept to understand Lu Jiuyuan's philosophy. But as a matter of fact, we can find more often the proposition of Xinjili in the writings which are included in the Chung-Chu school(程朱學) than Lu's writings. Above all, Xinjili that is recently interpreted as Benxinjili(本心卽理) is not suitable to explain Lu Jiuyuan's philosophy. Because the meaning of Benxinjili(本心卽理) is not far different from Chu Hsi's view. I guess the proposition of Xinjili is actually very common in the period of Song dynasty. Therefore I suggest that 'Bianzhi' should be comprehended as the essential concept to understand Lu Jiuyuan's philosophy. So far, even though 'Bianzhi' was regarded as one of Lu's concepts, it was never recognized as the basis of Lu Jiuyuan's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