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역>> 임괘(臨卦) “팔월(八月)”에 대한 조선과 중국의 삼정(三正)과 12벽괘(辟卦) 논란 (The Arguement of Three Kinds of Calendars and Twelve Monarchs Trigrams about “August” Overseeing I‒ching in Joseon Dynasty and Chin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6.09
28P 미리보기
&lt;&lt;주역&gt;&gt; 임괘(臨卦) “팔월(八月)”에 대한 조선과 중국의 삼정(三正)과 12벽괘(辟卦) 논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39권 / 3호 / 49 ~ 76페이지
    · 저자명 : 조희영

    초록

    유가 경전에서 언급되는 월(月建)과 정삭(正月)이 삼정(三正: 하은주 삼대의 책력) 가운데 어느 시대인지 알기 위해서는 주의를 요한다. 삼정은 각각 1개월의 차이가 있다. <<주역>>의 경우는 달(月)에 대한 언급이 한 군데 있으니 임괘(臨卦, ䷒) ‘8월’이다. ‘8월’이 삼정 가운데 어느 시대인지에 대한 문제는 맹희의 12벽괘론이 수용되면서 논란이 가열되었다.
    중국의 경향을 보면 ‘8월’을 삼정과 12벽괘 및 기타 역리로 접근한다. 후한대에는 주력(周曆)의 입장에서 ‘8월’을 미월(未月) 돈괘(遯卦, ䷠)라 했고, 당대에는 ‘8월’은 은력(殷曆)으로 신월(申月) 비괘(否卦, ䷋)라 했다. 송·원대에는 주력으로 미월 돈괘라는 설과 하력으로 유월(酉月) 관괘(觀卦, ䷓)라는 설 및 기타 설로 나누어졌다.
    조선의 경우 중국의 역학관에서 탈피하려는 조짐이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권근은 삼정이나 12벽괘는 부차적인 것으로 보고 역의 본령인 음양으로 ‘8월’의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유정원도 ‘8월’은 삼정과 무관하고 달수와도 무관한 음양소식의 원리라고 했다. 삼정으로 논한 학자 중 주력으로는 정약용과 심대윤을, 은력은 이익을 들 수 있다. 하력은 송시열과 정조를 들 수 있다. 이런 조선 학자들은 중국의 역학논리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자신들의 역학사상을 전개한다. 특히 정약용은 변역론으로 주력을 말하고 이병헌은 12벽괘의 새로운 변통론으로 ‘8월’이 은력이 되는 이론을 제시했다. 권근을 위시하여 이병헌에 이르기까지 임괘 ‘8월’을 해석하는 이런 새로운 자세에서 조선 역학사상의 한 단면을 읽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n article that explored Three kinds of calendars(三正) and Twelve monarchs trigrams(12辟卦) debate that took place in China and Joseon dynasty(朝鮮) for “August” Overseeing I‒ching(<<周易>> 臨卦 8月) In China, the trend of the approach to the “August” Overseeing I‒ching(<<周易>> 臨卦 8월) is three styles, that’s Three kinds of calendars(三正) and Twelve monarchs trigrams(12辟卦) and others(其他易理). The scholar of Han dynasty(漢代) claims Withdrawal(遯卦) as the calendars of Chou dynasty(周曆). The scholar of Tang dynasty(唐代) claims Obstrution(否卦) as the calendars of Yin dynasty(殷曆). The scholar of Sung dynasty(宋代) claims Withdrawal(遯卦) as the calendars of Chou dynasty(周曆), claims Overseeing(觀卦) as the calendars of Hsia dynasty(夏曆) and others.
    The scholar of Joseon dynasty(朝鮮) was the sign to move away from thinking of China. Typically Kwon Geun(權近) saw Three kinds of calendars(三正)과 Twelve monarchs trigrams.(12辟卦) with ancillary issues had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ugust” Overseeing I‒ching(<<周易>> 臨卦 8月) as Yin‒Yang(陰陽).
    Jeong(丁若鏞) is particularly telling the calendars of Chou dynasty(周曆) with the mutation of I‒ching(變易論), Lee(李炳憲) said that this “August” Overseeing I‒ching(<<주역>> 臨卦 8月) as a makeshift of Twelve monarchs trigrams(12벽괘 변통론). From Kwon Geun to Lee, This attitude can be called a cross‒section of the original spirit of Joseon dynasty(朝鮮) outside the Chinese thou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