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東漢時代 회화 표현법의 分化에 관한 연구 - 墓室 壁畵 分析을 中心으로 - (The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painting expression way of the Eastern Han dynasty -Focusing on the analysis of mural painting-)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5.08
49P 미리보기
東漢時代 회화 표현법의 分化에 관한 연구 - 墓室 壁畵 分析을 中心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33호 / 321 ~ 369페이지
    · 저자명 : 김병모

    초록

    본 논문은 東漢時代 회화에 나타난 彩色 및 線描 표현법의 分化가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는지를 검토함으로서 6法論 출현 직전에 형성된 표현법 경계를 분명하게 인식하고자 한 것이다.
    동한시대는 西漢時代에 비해 벽화 면적 및 주제가 크게 확대되고 더불어 표현법 분화도 훨씬 다양하고 심화된 양상으로 전개된다. 특히 지방을 중심으로 분화 양상이 두드러지며, 분화 원인으로는 주로 안료 수급 문제가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나타난다.
    新莽時代에는 채색 위주 표현법이 중심적 지위를 차지하지만 선묘 위주 표현법의 지속적 기반 확대와 더불어 沒骨式 표현법의 초보적 형태가 이미 출현한 것으로 확인된다.
    동한 전기에는 선묘 위주 표현법과 몰골식 표현법이 자유자재한 경지로 進化하면서 주요 표현법의 하나로 자리매김 되고, 특히 안료 부족이라는 상황을 인식, 혹은 예상하면서 분화를 진행시키고 있어 분화된 표현법의 조형적 의미를 분명하게 인식한 것으로 파악된다.
    동한 후기에는 서예 필법의 회화 필법으로의 도입과 더불어 미구분의 단계로까지 진전되고, 이러한 선묘 위주 표현법의 변화 및 발전 속에서 터취식 채색법을 출현시키고 있다. 몰골법 역시 보다 넓은 표현 영역으로 확장되고 볼륨이 크게 강조된 선묘 형태의 몰골법까지 출현시키면서 표현법의 개념과 영역을 새로운 지점으로 진입시키고 있다. 나아가 안료 수급이 충분치 않은 상황에 부응하여 묵법을 출현시키고 있어 묵법의 기원과 출현 배경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있다.

    영어초록

    About 200 years of Eastern Han dynasty was the period that showed meaningful changes and development enough to present 6 principles of painting during Wei-jin Period.
    Focusing on this, this study intended to appreciate the border of expression way formed before the advent of 6 principles of painting in a new and apparent way by reviewing how differentiation of the coloring and the line drawing expression ways developed, and what point of expression way's range this differentiation led to.
    The result showed that in Eastern Han dynasty, the differentiation of expression way was intensified as mural areas were expanded to local districts, and the size of mural areas with reality themes were also enlarged compared to those in Western Han dynasty. The enlargement of mural size was correlated with differentiation of expression way, and the differentiation was more intensified in the local districts. The backgrounds of the differentiation were closely related to economic power of the owners and the supply of the pigment that was relied on long distance trade.
    In Xin(新) dynasty, the differentiation of the line drawing expression way continued from the coloring expression way of Western Han dynasty, and then the establishment was expanded. Furthermore, 'Molgol' way, the way of drawing with ink or paints without contour, which seemed to have differentiated from the line drawing expression way, already appeared even in the elementary form.
    In early Eastern Han dynasty, the line drawing expression way and 'Molgol' way were developed into completely free forms, and stabilized as a main expression way even though the importance did not reach the coloring expression way. Especially, the differentiation was developed with awareness or prediction of pigment deficiency, so formative meanings of these differentiated expression ways appeared to be clearly recognized.
    In late Eastern Han dynasty, as the establishment of the line drawing expression way was broadly expanded, the technique of calligraphy appeared to be developed into application of the painting writing style or the stage of unclear boundary. As 'Molgol' way was also developed into the form of filling the large space, 'Touch' style molgol way appeared, and then it was developed into Molgol with the line expression way, in which volume was highly emphasized, Therefore, along with the expression way of the technique of calligraphy, the boundary of the concept of expression way was entered into the new range or stage. Moreover, to cope with the situation of insufficient supply of the pigment, India ink expression way, in which paints were replaced by water ink, was applied, so the era provides the chance of new recognition of origin and background of India ink expression way.
    The prior studies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the above differentiation of expression way in addition to the background of expression way differentiation and the advent of India ink expression way, but if division and application of expression way in many figures are considered, it can be assumed that old Chinese people's attitude towards the painting expression way already entered into new boundary.
    Especially, in Wei-jin Period, Because Western painting expression ways were flowing into Chinese inland called the countries to the west of China, and mutual fusion and transformation were done, specific reviews about development of expression ways and enlargement of recognition formed in Eastern Han dynasty should be highly considered in order to analyze and track the acceptance and the trace of transformatio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후